1985년 뉴욕타임스 한 기사는 "불과 3년 전까지만 해도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이 디저트가 어떻게 갑자기 이렇게 인기가 치솟았을까?"라고 물었다. 이 기사가 지칭하는 디저트는 다름아닌 티라미수(Tiramisù)다. 말 그대로 1970년대까지 무명의 디저트였던 티라미수는 1980년대 미국 레스토랑의 후식 메뉴를 휩쓸었으며, 2000년대에는 한국에 상륙했다. 이 글로벌 후식은 1960년대 후반 이탈리아에서 탄생했다.
우연의 창조물 티라미수
오늘 10월 31일, 이탈리아 언론들은 '일 파파 디 티라미수'(il papà di Tiramisù, 티라미수의 아버지)라 부르는 레스토랑 경영자 아도 캄페올(Ado Campeol)이 향년 93세로 별세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아도 캄페올이 '티라미수의 아버지'라 불린다고 해서 그가 티라미수를 창조한 것은 아니다. 티라미수는 그의 아내와 그의 레스토랑 셰프의 손에 의해 탄생했다.
캄페올은 티라미스가 그의 아내와 요리사에 의해 1969년에 발명되었다고 전해지는 이탈리아 북부 트레비소 소재 레스토랑 르 베셰리(Le Beccherie)의 소유자였다.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된 이 디저트는 바닐라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과정에서 우연히 만들어졌다.
이 디저트의 공동 발명가인 베셰리의 셰프 로베르토 링구아노토(Roberto Linguanotto)에 따르면 이 요리는 바닐라 아이스크림 제조과정 중 사고로 만들어졌다. 링구아노토 씨는 계란과 설탕이 담긴 그릇에 마스카포네(mascarpone) 치즈를 떨어뜨렸고, 이 혼합의 기막힌 맛을 알아차린 후 그는 캄페올의 아내 알바 디 필로(Alba Di Pillo)에게 말했다. 두 사람은 흔히 레이디 핑거(ady finger)라 불리는 사보이아르디 비스킷(savoiardi biscuit) 커피에 적시고 코코아를 뿌려 디저트를 완성했다.
다양한 티라미수에는 럼이나 마르살라와 같은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지만, 캄페올에 따르면 원래 레시피는 어린이와 노인들에게 티라미수를 제공하기 위해 무알코올로 만들어졌다.
이 디저트의 명칭은 처음에 "나를 끌어올리소서"라는 의미의 "티라메 소"(Tirame Sù)였으며 후에 티라미수(Tiramisù)로 바뀌었다.
세상에 나온 티라미수
티라미수는 이탈리아 북부 도시 트레비시오에 있는 매춘업소에서 최음제로 사용되었다는 주장을 포함하여 기원에 대한 오랜 논쟁이 있었는데, 그 이유 중 하나가 캄페올이 1972년에 공식적으로 티라미수를 레스토랑 메뉴에 추가했지만 이 요리의 특허를 신청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덕분에 티라미수는 다양한 조리법과 다른 버전이 번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티라미수가 처음으로 대중들에게 공개적으로 소개된 것은 미식가 주세페 마피올리(Giuseppe Maffioli)에 의해서다. 그는 음식과 와인을 전문으로 하는 지역 계간지 베네토(Veneto) 칼럼에서 티라미수에 대해 썼으며 당시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디저트의 근원으로 캄페올과 르 베셰리를 꼽았다. 그 이후로 전 세계 요리사들이 채택한 이탈리아 요리의 필수품이 되었다. 그 이후로 전 세계 요리사들이 채택한 이탈리아 요리의 필수품이 되었다.
티라미수의 엄청난 국제적 성공은 특히 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 (Friuli-Venezia Giulia) 주와 베네토 주 사이에서 기원을 둘러싼 상업적 분쟁을 일으켰다. 하지만 티라미수 아카데미(Tiramisù Academy)를 포함해 오늘날 티라미수가 캄페올의 레스토랑에서 탄생했다는 것은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르 베셰리는 1939년 캄페올 가족에 의해 문을 열었고 아도 캄페올은 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 사업을 인수했다. 르 베셰리의 영업은 2014년 문을 닫을 때까지 계속됐다.
루카 자이아(Luca Zaia) 베네토주 주지사는 25일 "트레비소가 음식과 와인 역사에서 또 하나의 별을 잃었다"며 캄페올 가문에 애도를 표했다.
'식량과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넛의 역사: 네덜란드의 빈곤의 음식에서 미국 현대사와 함께한 간식으로의 변신 (0) | 2021.12.24 |
---|---|
칠면조: 멕시코의 새에서 서양 크리스마스의 주식으로 그리고 이제는 반려 동물로 (0) | 2021.12.18 |
세계와 한국의 육류 생산량과 소비량 2: 중국 전 세계 돼지 소비 2/3, 한국 육류 소비 증가율 세계 2위, 우유 생산 및 소비 증가율 세계 1위 (0) | 2021.05.20 |
세계와 한국의 육류 생산량과 소비량 1: 세계 육류생산은 15배 그리고 한국 육류생산은 2,250% 성장 (0) | 2021.05.19 |
식량, 열량, 영양 2: 지난 50년간 한국 지방 소비 증가율 세계 1위, 단백질, 소비 증가율 세계 2위 (0) | 2021.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