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1: 하이데거의 중요성 그리고 각자성(Jemeinigkeit)

Zigzag 2022. 12. 19. 14:30
반응형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은 현상학, 실존주의, 포스트 구조주의 등 20세기와 21세기의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그 복잡한 개념의 클러스터와 난해함으로 '존재와 시간'은 일반 독자들이 가장 접근하기 어려운 난공불락의 요새이기도 하다. 특히 하이데거의 고전과 그 어휘에 대한 풍부한 이해, 그리고 다의성과 단어의 자유로운 조어가 용이한 것으로 '악명'높은 독일어를 이용한 그의 저작은 독자들에게 통일되고 일관된 이해를 요구하지만 쉬운 이해를 좀처럼 허용하지 않는다. 아울러 하이데거의 나치에 대한 협력은 독자들로하여금 그는 물론 그의 저작에까지 거리를 두게 한다. 하이데거의 찬양자 중의 한 명이자 '호모사케르로 잘 알려진 이탈리아 철학자 아감벤은 하이데거가 반유대주의자가 아니었다면서 그를 옹호하려 애쓰지만 하이데거의 반유대주의은 변명의 여지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철학과 통찰력은 현대 철학을 이해하는데서 매우 중요하다. 영어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당대 철학자 중의 한 명이자 하이데거와 프랑스 현대철학에 조예가 깊은 뉴욕 사회연구 뉴 스쿨의 철학자 Simon Critchley는 이러한 독자들을 위해 '존재와 시간'에 대해 2009년 8차례에 걸쳐 블로그와 가디언에 글을 연재했다. 그 글들은 '존재와 시간 1부: 하이데거가 중요한 이유, '존재와 시간', 2부: 각자성에 대하여, '존재와 시간', 3부: 세계-내-존재, '존재와 시간', 4부: 이 세상에 던져지다, '존재와 시간' 5부: 불안, '존재와 시간', 6부: 죽음'존재와 시간', 7부: 양심, '존재와 시간', 제8부: 시간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글들은 '존재와 시간'에 등장하는 주요 개념들을 중심으로 '존재와 시간'에 대해 해설하고 있으며, 각각의 글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전체를 읽은 독자들은 '존재와 시간'에 대해 개략적인 밑그림을 그릴 수 있으며, '존재와 시간'을 정독할 유혹을 느낄 수도 있다. 앞으로 이 글들을 매일 2부씩 총 4회에 걸쳐 번역, 연재할 예정이다. 이 글은 Guardian에 게재된 Simon Critchley의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 대한 8부의 글 중 1부와 2부인 Being and Time, part 1: Why Heidegger mattersBeing and Time, part 2: On 'mineness'의 번역이다.

'존재와 시간' 1부: 하이데거가 중요한 이유

지난 세기의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대륙 철학자도 나치였다. 그는 어떻게 그곳에 이르렀는가? 우리가 그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Simon Critchley

마르틴 하이데거(1889-1976)는 20세기 대륙 전통에서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철학자였다. 1927년에 처음 출판된 '존재와 시간'(Being and Time)은 그의 대표작이었다. 하이데거 이후 대륙 철학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는 '존재와 시간'을 받아들이지 않고는 이해할 수 없다. 또한 많은 영미 철학자들과 달리 하이데거는 건축, 현대미술, 사회 정치이론, 심리치료, 정신의학, 신학 등 철학 외부의 다양한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1933년 독일 남서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총장으로 취임하면서 국가사회주의에 대한 정치적 헌신 때문에 논란과 논쟁, 그리고 많은 뜨거운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하이데거와 정치 사이의 관계에 대한 매우 중요한 문제는 또 다른 블로그 항목 시리즈의 주제이다. 사실, 내 생각에 하이데거가 국가사회주의에 관여하는 본질과 정도는 그의 저술, 특히 '존재와 시간'에서 일어나는 일의 설득력을 이해하고 느끼기 시작했을 때만 철학적으로 타당해진다.

이 블로그 시리즈에서 내가 설정한 과제는 후자의 책에 대한 맛보기를 제공하고 바라건대 그것을 더 읽고 더 깊이 연구할 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단 여러분이 '존재와 시간'을 읽고 그것에 이끌리면, 다모클레스의 검처럼 본문에 걸려있는 질문은 다음과 같다: 어떻게 거의 확실히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철학자가 나치였을 수 있었을까? 국가사회주의에 대한 그의 정치적 헌신은 그것이 길든 짧든 정치 영역에 발을 들여놓을 때 철학의 본질과 그것의 리스크와 위험에 대해 무엇을 시사하는가?

'존재와 시간'

'존재와 시간'은 상당한 길이(독일 원본 437쪽)와 전설적인 난이도의 작품이다. 그 어려움은 하이데거가 스스로 철학적 전통의 "파괴"(destruction)라는 과제를 설정한 데서 비롯된다. 우리는 미래 항목에서 이것의 일부 의미를 보게 될 것이지만, 하이데거는 인식론, 주체성, 재현, 객관적 지식 및 나머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현대 철학의 표준 용어를 사용하기를 거부한다.

하이데거는 대담하게도 처음부터 다시 판을 짜고 새로운 철학적 어휘를 발명한다. 예를 들어, 그는 주체, 자아, 사람, 의식 또는 정말로 정신-뇌의 통합으로서의 인간의 모든 개념들이 충분히 근본적으로 생각되지 않은 사고의 전통의 인질이라고 생각한다. 하이데거는 급진적인 사상가, 즉 전통의 권위를 받아들이기보다는 우리가 살아있는 세계 경험의 뿌리까지 파고들려고 노력하는 사상가이다.

하이데거의 인간을 뜻하는 이름은 다자인(Dasein, 현존재)으로, 이는 다양하게 번역될 수 있지만 보통 "거기에 존재한다"로 표현된다. 우리가 미래의 항목에서 보게 될 기본적이고 매우 단순한 생각은 무엇보다도 인간은 그들이 알고 싶어 하는 대상의 영역과 단절된 고립된 주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는 오히려 대부분의 경우 우리 자신을 구별하지 않는 세상 밖과 옆에 항상 있는 존재이다.

다자인에게 적용되는 것은 하이데거의 다른 많은 개념들에도 적용된다. 때때로 이것은 '존재와 시간'을 매우 어려운 읽을거리로 만드는데, 하이데거는 다른 어떤 현대 철학자보다도 그의 모국어, 즉 독일어의 언어적 가능성을 이용한다는 사실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비록 맥쿼리와 로빈슨(Macquarrie and Robinson)이 1962년 블랙웰(Blackwell) 영문판에서 현대 철학 번역의 고전 중 하나를 만들어냈지만, '존재와 시간'을 읽는 것은 때때로 바로크와 낯선 개념의 개념적 진흙을 헤치고 지나가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

기본적 아이디어

그렇기는 하지만, '존재와 시간'의 기본 개념은 매우 간단하다. 즉, 존재는 시간이다. 즉, 인간이 존재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출생과 죽음 사이의 연장선에서 시간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존재는 시간이고 시간은 유한하며, 그것은 우리의 죽음으로 끝이 난다. 그러므로, 우리가 진정한 인간이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고 싶다면, 하이데거가 "죽음을 향한 존재"(being-towards-death, 독일어로는 Sein zum Tode - 역자 주)라고 부르는 우리의 삶의 지평선에 끊임없이 투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대략적으로 말하면, 성 바오로(St Paul), 성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e), 루터(Luther), 키에르케고르(Kierkegaard)와 같은 사상가들에게 자아는 신과의 관계를 통해 스스로를 발견한다. 하이데거에게 신의 존재 여부에 대한 질문은 철학적으로 아무런 관련이 없다. 자아는 죽음과의 대결을 통해서만, 우리의 유한성에서 의미를 만들어냄으로써 진정한 존재가 될 수 있다. 우리의 존재가 유한하다면 인간이 된다는 것은 이 유한성을 파악하는 데, 하이데거가 즐겨 인용한 니체의 말을 빌리자면 "자기 자신이 되는 것"(becoming who one is)*이다. 우리는 하이데거의 양심 개념과 그가 "탈자적 시간성"(ecstatic temporality)이라고 부르는 것과 관련하여 이후 항목에서 유한성에 대한 이러한 통찰이 어떻게 심화되는지 보여줄 것이다.

* 역자 주: 이 문구는 원래 니체의 저서 '이 사람을 보라'(Ecce Homo)의 부제인 Wie man wird, was man ist에서 온 것이다.

'존재와 시간'은 길고 체계적인 도입부로 시작하며,  각각 6개의 장으로 구성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나는 뉴욕에 있는 사회연구 뉴 스쿨(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15주간의 강의 과정에서 책 전체를 가르치는 것을 막 마쳤고 일주일에 2시간 정도 이야기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 뉴욕에서 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그냥 계산을 해보자! 따라서, 다음의 7개의 짧은 블로그 엔트리에서, 나는 단지 책의 맛보기만을 줄 수 있을 뿐이며, 더 많은 것을 탐구하고 싶은 독자들을 위해 몇 가지 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존재와 시간' 2부: '각자성'(mineness)에 대하여

하이데거에게 인간을 정의하는 것은 왜 무가 아니라 유인가라는 가장 심오한 질문에 당황할 수 있는 능력이다

Simon Critchley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이 시작되는 제목 없는 오프닝 페이지에서 분명히 밝혔듯이, 이 책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존재의 문제이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2500년 전에 쓰여진 제목 없는 원고에서 제기한 질문이지만, 나중에 형이상학(Metaphysics)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생물의 존재(생물학) 또는 자연계의 존재(물리학)와 같은 존재의 특정 영역에 관계없이 그가 "존재 그 자체"라고 부르는 것을 조사하는 과학이 있다.

형이상학은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이 "최초의 철학"이라고 부르는 탐구의 영역이며 그 무엇보다도 우선된다. 그것은 철학에서 가장 추상적이고 보편적이며 무한한 영역이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가장 기본적이다.

존경할 만한 오만함과 함께,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 속에서 탐구하는 임무를 스스로 설정하는 것은 존재의 문제이다. 그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수사적 질문으로 시작한다. 우리는 존재의 의미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을 가지고 있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고 그는 대답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해 당혹감을 느끼기도 하나? 전혀 그렇지 않다고 하이데거는 반복한다. 따라서 하이데거 책의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과제는 햄릿의 "존재냐 아니냐?"(To be or not to be?, 흔히 알려진 "죽느냐 사느냐" 대신 여기서는 하이데거의 존재와 무에 대한 물음이니 존재냐 아니냐가 더 적절한 번역 - 역자 주)라는 물음에 대한 당혹감을 회복하는 것이다.

하이데거에게 인간을 정의하는 것은 왜 무가 아니라 유인가?라는 가장 깊고 수수께끼 같은 질문에 당황하는 능력이다. 그래서 '존재와 시간'의 과제는 우리 안에서 당혹감과 질문에 대한 취향을 다시 일깨우는 것이다. 질문(하이데거는 그의 경력에서 훨씬 나중에 의견을 제시하게 될)은 사고의 경건함이다.

'존재와 시간'의 고유한 텍스트의 첫 번째 줄은 "우리는 우리 자신이 분석되어야 할 단위"이다. 이것이 각자성(mineness, 독일어 Jemeinigkeit)의 중요한 개념의 핵심이며, 이 책에서 시작된다: 만약 내가 존재가 하나의 질문인 존재라면(즉 "존재냐 아니냐") 존재에 대한 질문은 어떤 식으로든 나의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이라는 존재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하이데거의 대답은 실존(Existenz)이다. 그러므로 존재의 문제는 하이데거가 "실존 분석"(existential analytic)이라고 부르는 것을 통해 접근되어야 한다. 하지만 인간 실존이란 어떤 것일까? 그것은 분명히 시간에 의해 정의된다. 즉 우리는 과거를 가지고 있는 생물이며, 이 생물은 현재를 통해 움직이고 하이데거가 "존재하는 방식"이라고 부르는 일련의 가능성을 이용할 수 있다. 하이데거의 논점은 놀라울 정도로 간단하다. 즉 인간은 테이블이나 의자와 같은 "무엇"(what)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시간 속의 존재에 의해 형성된 "누구"(who)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인간이라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 특정한 과거, 개인적이고 문화적인 역사, 그리고 내가 잡을 수 있는 열린 일련의 가능성들과 함께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점을 제시한다. 인간 존재가 각자성에 의해 정의된다면 나의 존재는 나에게 무관심한 문제가 아니다. 테이블이나 의자는 햄릿의 독백을 읊을 수 없고, 그 말이 표현하는 자기 질문과 자기 의심의 경험을 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할 수 있다.

이것이 하이데거의 본래성(authenticity, 독일어 Eigentlichkeit) 사상의 핵심이며, 이는 인간에게 무엇이 고유하고, 무엇이 자신의 것인지를 보다 정확하게 표현한 것이다. 하이데거에게 인간 존재에는 본래성과 비본래성(inauthenticity, 독일어 Uneigentlichkeit - 역자 주)이라는 두 가지 지배적인 방식이 있다. 게다가, 우리는 이 두 가지 모드 사이에서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 즉, 나 자신이 될 것인지 아닌지, 나 자신의 저자가 되어 자신에게 권한을 부여할 것인지 아니지 선택할 수 있다. 하이데거는 그가 '존재와 시간'을 통해 주장하듯이, 비본래성은 더 낮거나 덜한 존재를 의미하지 않지만, 많은 독자들은 그러한 확신을 의심할 이유가 있다. 하이데거를 비판한 것으로 유명한 테오도르 아도르노(Theodor Adorno)는 다음과 같이 묻는다. 본래성은 결국 없는 것이 더 나은 전문용어로 귀결되지 않는가? 요점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하자.

본래성과 비본래성의 두 가지 모드에 상관없이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의 초기에 인간은 본래적 여부를 선택하기 전에 먼저 무심한 성격으로 제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이데거는 이 책에서 곧 만트라가 되는 단어들에서 인간을 "우선 대개"(most closely and mostly, 독일어로 Zunächst und Zumeist - 직역하면 '바로 옆에 그리고 대부분' - 역자 주)로 묘사하고자 한다.

이 초기 움직임의 급진적인 특성에 주목하자. 철학은 외부 세계가 존재하는지 또는 내 주변의 다른 인간처럼 보이는 생명체들이 정말 인간인지 로봇인지 또는 그런 것인지에 대한 공상적인 사변이 아니다. 오히려 철학은 하이데거가 "현상학"이라고 부르는 인간의 평균적인 일상적인 존재에 대한 묘사에서 시작한다. 그것은 그 일상성으로부터 특정한 공통 구조를 도출하려고 한다.

그러나 우리는 하이데거가 스스로 설정한 과제의 어려움에 주목해야 한다. 우리에게 가장 가깝고 가장 명백한 것은 설명하기 극도로 어렵다. 평범하고 무심한 일상 실존에서 나에게 나 자신보다 더 가까운 것은 없지만, 이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하이데거는 성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e)의 고백록(Confessions)을 인용하는 것을 좋아했는데, 후자는 "분명히 나는 여기서 노동하고 내 안에서 노동한다. 나는 나 자신에게 수고와 벅찬 땀의 대지가 되었다."라고 썼다. 하이데거는 정말로 수고를 의미하고 사람들은 종종 이 페이지들을 통해 땀을 흘린다. 그러나 계시의 순간은 그 명백함에 숨이 막힐 정도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