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시사

타임라인: 독재자 알바시르 축출부터 군부 쿠데타까지 수단 정치 상황

Zigzag 2021. 10. 26. 01:22
반응형

* 수단은 1956년 독립 이후 수많은 쿠데타와 쿠데타 겪으며 안정된 민주적 정치 시스템을 정착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어 왔다. 1989년 오마르 알바시르(Omar al-Bashir)는 군부 쿠데타로 선거로 집권한 정부를 축출하고 집권했다. 알바시르 정권은 2003년 60만 명이 학살당하고 약 250만 명의 난민을 발생시킨 악명 높은 다르푸르(Darfur) 사태를 주도해 국내적인 반발은 물론 국제적인 고립을 자초했다. 지난 2019년 몇 달 동안의 거리 시위로 약 20년 간 집권한 독재자 오마르 알바시르(Omar al-Bashir)를 축출된 후 수단은 민-군이 권력을 분점 하는 과도 체제로 유지되어 왔다. 민간의 느슨한 연대체인 자유와 변화를 위한 힘(Forces for Freedom and Change, FFC)은 군부와의 권력 분담을 합의하고 주권 위원회(Sovereign Council)를 출범시켰다. 이 민-군 권력분점 기구는 2023년 선거를 실시하고 수단을 완전히 민간 통치로 전환하는 것에 합의했다. 이 과도 체제는 바시르 독재체제 아래서 고립된 서방과의 관계를 정상화하고 국가를 재건하는데 절실히 필요한 자금을 끌어 오는 데 큰 진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 몇 주 동안 수단의 수도 하르툼에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9월에 바시르 씨의 추종자들로 인한 쿠데타 시도가 좌절된 후 긴장은 더욱 고조되었다. 몇 주 전 하르툼 대통령궁 바로 앞에서 친군부 세력들이 시위를 벌이며 민간지도자들의 축출을 요구했으며, 이는 대중 시위를 가장한 쿠데타의 전조로 여겨졌다. 이 글은 Aljazeera의 10월 25일 자 기사 Timeline: Sudan’s political situation since al-Bashir’s removal의 번역으로 알바시르 정권 축출 전후의 수단 정치 상황의 연대기를 잘 요약하고 있어, 오늘 수단의 군부 쿠데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 역자 주

타임라인: 알바시르(al-Bashir) 축출 이후 수단의 정치적 상황

몇 주 동안 민주주의 지지와 군부 지지 시위가 이어진 후 군은 함독(Hamdok) 총리를 구금했다.

국기를 두른 수단 시위자가 2021년 10월 25일 수도 하르툼에서 수단 정부군에 의한 과도 정부 인사 구금을 규탄하는 시위가 진행되는 동안 불타는 타이어 옆에서 승리 사인 보이고 있다. 사진 출처: AFP

2년 전 장기 집권한 오마르 알바시르(Omar al-Bashir)가 전복된 이후 수단에서 권력을 공유해 온 군인과 민간인 사이에 몇 주 동안 긴장이 지속된 후, 군부는 수상이 집권 의회를 해산하고 비상사태를 선포하기 전에 수상을 구금했다.

집권 의회의 민간 의원들과 정부 장관들 또한 압달라 함독(Abdalla Hamdok) 총리와 함께 구금되었는데, 정보부는 총리가 "쿠데타" 지원을 거부했다고 발표했다.

인터넷, 휴대전화, 유선망 일부가 월요일 아침 일찍부터 장애를 겪고 있다.

수단 정부는 이전에 정부가 9월 21일 쿠데타 시도의 목표라고 말한 바 있다. 그 이후로 수단의 정치 상황은 악화되었다. 반정부 시위가 발생한 이후 수단에서 일어난 사건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단 시위대가 2021년 10월 25일 수도 하르툼의 60번가에서 수단 정부군에 의한 정부 인사 구금을 규탄하기 위해 행진하고 있다. 사진 출처: AFP

2018년 12월: 대규모 시위
아트바라(Atbara) 북동부 지역에서 빈곤, 부패, 실업에 대한 광범위한 시위가 발생한다. 며칠 만에 이 시위는 수도인 하르툼으로 번졌고 요구는 곧 알바시르의 사임 요구로 바뀌었다. 보안군은 수십 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강력한 단속으로 대응했다.

2019년 4월: 알바시르 전복
2019년 4월 11일 수단 군부는 알바시르를 권력에서 축출하고 헌법을 정지시켰으며 국경과 영공을 폐쇄했으며, 3개월간의 비상사태도 선포됐다. 30년 가까이 집권한 알바시르는 과도 군사정권으로 교체되지만 수천 명의 시위대가 민정을 요구하며 육군본부 앞에서 진을 쳤다. 장군들과 시위 지도자들 사이의 대화는 결렬되었다.

2019년 6월 유혈진압
6월 3일 시위대가 진을 치고 있는 장소에 무장 괴한이 들어와 며칠간의 유혈 진압으로 수십 명이 사망했다. 지난 2003년 다르푸르 분쟁 당시 전쟁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알려진 악명 높은 무장단체인 신속지원군(Rapid Support Forces , RSF)이 이번 폭력사태의 배후로 지목됐지만 관련 혐의는 부인했다.

2019년 8월: 권력 공유
아프리카 연합(African Union)이 개입한 후 민간인과 군부 파벌은 2023년으로 예정된 선거와 함께 3년 간의 과도기에서 권력을 공유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총리 압달라 함독(Abdalla Hamdok)이 이끄는 각료회의도 구성됐다. 8월 17일에는 '헌법 선언'(constitutional declaration)이 서명되고 사흘 뒤 군과 민간인으로 구성된 주권위원회(sovereign council)가 구성된다.

2019년 12월: 알 바시르 유죄 판결 
12월 14일, 알 바시르는 부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2년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지난 2003년 다르푸르 분쟁 당시 30만 명이 사망한 대량학살, 전쟁범죄, 반인륜 범죄 혐의로 국제 형사재판소(ICC)가 오랫동안 수배 중이었다. 하르툼의 검사는 범죄인 인도를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거부했다.

2020년 3~6월: 소요 확산
함독은 3월 9일 암살 시도에서 살아남았다. 
4월에는 인플레이션이 99% 이상으로 치솟았고, 코로나바이러스 전염병에 대처하기 위해 국경이 폐쇄된 후 식품 가격이 급등했다. 
6월 30일, 거리 시위는 알-바시르 정권 하에서 그리고 최근 몇 년간의 시위 동안 사망한 사람들에 대한 정의를 재차 요구했다.

2020년 7월: 알-바시르가 쿠데타 시도
알 바시르는 1989년 쿠데타로 인해 7월 21일 하르툼에서 재판을 받는다.
정부는 암시장 활동을 억제하기 위해 "경제 비상사태"와 씨름하고 있는 가운데 통화가치를 평가절하할 것이라고 발표한다.

2020년 10월: 평화협정
10월에 수단은 반군 단체 연합과 획기적인 평화 협정을 체결했다.
두 개의 핵심 그룹이 서명을 거부하고 수단 동부의 부족들도 협정이 그들을 무시하고 있다며 반대한다.
수단은 또한 12월에 미국이 수단을 테러 지원국 목록에서 제외하는 대가로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정상화하는 데 동의한다.

2021년 2월: 허약한 정부
수단은 전 반군 단체의 장관 7명이 포함된 새 내각을 발표했다.
나중에 함독은 반 바시르 시위를 주도했던 민간 동맹 내부의 분열에 대해 경고했다.

2021년 9월-10월: 군사 '쿠데타'
동부 수단의 시위대는 9월부터 10월까지 포트 수단(Port Sudan)의 핵심 허브 장악을 통해 무역을 봉쇄한다.
하르툼의 정부는 9월 21일 알바시르의 전복된 정부와 연계된 민간 및 군사 음모자들의 쿠데타 시도를 저지했다고 발표했다.
시위대는 10월 16일부터 하르툼의 거리로 나와 군사정부를 요구했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주요 민간 저항 동맹에서 분열된 파벌의 요청에 의한 것이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10월 21일 수만 명이 민간 주도 민주주의로의 나라의 전환을 지지하는 시위를 벌인다.
월요일 정보부는 "쿠데타" 지원을 거부한 함독뿐만 아니라 여당의 민간인 의원들과 정부 장관들을 군대가 구금했다고 밝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