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델라 효과: 잘못된 기억은 개인을 넘어 집단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피카추 꼬리 끝에 검은 줄무늬가 없음에도 적지 않은 사람들은 그것이 있다고 믿는다. 보드 게임 모노폴리 맨은 단안경 모노클을 쓰지 않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가 단안경을 썼다고 믿고 심지어는 다른 이들을 설득하려 든다.
이렇게 특정 이미지나 단어, 역사적 사건이나 사람 등에 대해 거짓 기억을 공유하는 현상은 "만델라 효과"(Mandela Effect)라고 불린다. 만델라 효과는 많은 사람들이 같은 것을 잘 못 기억할 때 발생하는 일종의 잘못된 기억이다.
사람들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과 같은 잘못된 기억을 공유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 어리둥절해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 그들이 기억하고 잊어버리는 것은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경험에 근거해야 한다고 가정하기 때문이다.
만델라 효과는 개인 경험의 다양성과 상관없이 사람들이 서로 같은 이미지를 기억하고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심지어 기억 속에 있는 이러한 유사점들이 심지어 우리의 거짓 기억까지 확장된다.
만델라 효과의 유래와 사례
'만델라 효과'라는 용어는 1980년대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이 감옥에서 세상을 떠난 잘못된 기억을 묘사하기 위해 자칭 초자연적 현상 연구자인 피오나 브룸(Fiona Broome)이 만들었다. 그녀는 많은 다른 사람들도 같은 잘못된 기억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의 웹사이트에 자신의 경험에 대한 기사를 썼다. 공유된 거짓 기억의 개념은 레딧을 포함한 다른 포럼과 웹사이트로 확산되었다.
그 이후로 만델라 효과의 예는 인터넷에서 널리 공유되었다. 예를 들어 '스타워즈'(Star Wars)의 'C-3PO'와 같은 캐릭터에 대해 사람들이 이 로봇이 한 개의 금색과 한 개의 은색 다리 대신 두 개의 금색으로 된 다리를 가지고 잘못 기억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미국의 속옷 회사 프룻 오브 더 룸(fruit of the loom)의 로고에서 과일 뒤편에 코르누코피아가 있었다고 기억하고 있으며, 큐어리스 조지(Curious George)에게 꼬리가 있다고 생각하고, 폭스바겐 로고에서 'V'와 'W' 사이에 막대가 없다고 믿었다.
Psychological Sciences 저널에 게재된 한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의 33%만이 아래의 이미지 중에서 올바른 것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이미지에 대해 사람들은 두 개의 잘못된 버전 중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잘못된 버전을 일관되게 식별했다. 또한 참가자들은 자신의 선택에 매우 자신감이 있었고 이러한 아이콘이 틀렸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친숙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했다.
만델라 효과의 특징은 사람들이 어떤 측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부정확한 왜곡된 기억을 가지고,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와 단어나 일어나지 않은 사건 등을 명확하게 기억하는 것이며, 비슷한 왜곡되거나 부정확한 기억이 관련이 없는 사람들에 의해 공유되는 것이다.
만델라 효과의 원인 그리고 음모론
만델라 효과는 우선 거짓 기억(False memories)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거짓 기억은 어떤 사건에 대한 사실이 아니거나 왜곡된 기억이다. 일부 거짓 기억은 문제의 실제 사건과 매우 흡사한 사실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만, 다른 것들은 완전히 거짓이다.
기억은 타인의 영향을 받기 쉽다. 때문에 다른 사람의 정보, 다른 것을 믿으려는 사람의 욕망, 또는 온라인상의 잘못된 정보가 기억에 의해 쉽게 영향받는다. 사람들은 매우 다양한 거짓된 것들을 믿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과학자들은 범죄를 저지른 기억을 거짓으로 유도할 수 있었다. 한 연구에서, 사람들은 거짓과 실제 기억을 구별할 수 없었다. 연구자들은 심지어 DRM(Deese-Roediger-McDermott) 작업 패러다임이라고 불리는 거짓 기억을 유도하는 간단한 방법을 발견했다. DRM 작업 패러다임은 예를 들어 감자, 고구마, 순무, 토란 등의 유사한 작물을 실험 참가자들에게 보여주고 나중에 이들을 유도하는 칡과 일종의 '유인어'로 참가자들이 그 단어를 기억하는지 물어본다. 보통의 참가자들은 칡이 목록에 없었지만 구황 작물이란 연계성에 기초해 칡이 있었다고 잘못된 기억을 활성화한다. 이렇듯 기억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주입과 왜곡이 가능하다.
만델라 효과의 또 다른 원인으로 작화(confabulation)를 꼽을 수 있다. 마음속으로 이야기를 지어내는 행위나 이야기인 작화는 사람들이 즉흥적으로 생성하는 허위 기억이며 이는 종종 사람들의 기억의 구멍을 채우기 위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베렌스타인 부부가 지은 '베렌스타인 곰가족'(Berenstain Bears) 시리즈는 영어의 "-스타인"이란 발음이 보통 독일어에서 온 "-stein"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 동화의 제목을 명확히 기억하지 못할 경우 Berenstain 대신 Berenstein으로 기억의 구멍을 채운다.
만델라 효과의 또 다른 원인은 심리학에서 말하는 촉발(促發), 점화(點火) 혹은 프라이밍(priming)이라 불리는 현상과 관련이 있다. 프라이밍은 하나의 자극에 대한 노출이 후속 자극에 대한 사람의 반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만약 어떤 사람이 "교사"라는 단어를 읽거나 들으면 "국회"보다 "학교"라는 단어를 더 빨리 인식할 것이다.
프라이밍은 특정 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암시적인 기술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냉장고에서 사과를 꺼냈나요?"라는 질문은 "냉장고에서 무엇을 꺼냈나요?"라는 문구보다 훨씬 더 연상적이다. 왜냐하면 두 번째 질문은 대상을 특정하지 않은 개방형 질문인 반면 첫 번째 질문은 특정 대상을 취하는 구체적인 동작을 포함하기에 기억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친다.
거짓 기억과 작화는 인간이 내러티브 동물인 것과 관련이 있다. 인간은 주변의 세계와 사물, 사건을 무작위적으로 인식하고 기억하는 대신 일정한 범주와 개념을 가지고 인과 관계에 따라 이야기 혹은 내러티브의 형태로 저장한다. 따라서 인식과 기억의 구멍은 내러티브의 구성을 위해 채워져야 하며, 내러티브의 공백은 또 다른 정보와 지식에 의해 추정되어야 한다.
만델라 효과는 두 사람 이상이 그들의 왜곡된 기억이 사실 정확한 기억이라고 믿을 때 발생한다. 그들은 다르게 일어난 사건이나 전혀 일어나지 않았던 사건들을 명확하게 기억할 수 있다. 만델라 효과는 거짓말이나 속임수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그것은 어떤 사람이나 집단이 분명하지만 거짓된 기억을 가지고 있을 때 발생한다.
만델라 효과는 음모론자들에게 먹거리가 되었다. 거짓 기억은 너무 강하고 구체적이어서 일부 사람들은 그것들을 대체 현실 또는 평행 우주의 증거라고 주장한다.
만델라 효과의 일관성과 집단성
만델라 효과는 실제적이고 일관된 기억 오류이다. 위의 Psychological Sciences 저널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심지어 피카추나 C-3PO의 올바른 버전을 본 몇 분 후에도 여전히 잘못된 버전을 선택했다. 그리고 기억에서 자유롭게 아이콘을 그리도록 요청받았을 때, 사람들은 또한 똑같은 잘못된 특징들을 그림에 포함했다.
인간의 뇌는 컴퓨터의 하드 드라이브처럼 작용하지 않는다. 우리는 기억은 말할 것도 없이 우리가 필요로 하는 기억에 항상 접근할 수 있지 않다. 진실과 팩트는 늘 명확하지 않으며 쉽게 흐려질 수 있다. 이는 단지 한 개인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이것이 잘못된 기억의 집단 공유라는 만델라 효과의 기반이다.
특정 이미지, 사건, 사람, 단어 대한 잘못된 기억의 일관성과 집단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잘못된 기억을 유발하는 것의 일부가 우리의 환경과 관련되어 있으며 우리의 주관적인 세계와의 경험과는 무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지 오웰은 '1984'와 '동물 농장'을 통해 기억이 불완전하며, 집단적인 기억 조작이 가능할 수 있음을 설득력 있게 묘사했다. 만델라 효과 자체는 고의성이 없는 집단 기억 오류이지만 진실과 거짓, 진짜 뉴스와 가짜 뉴스, 팩트와 소설, 기사와 의견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포스트 진리 시대에 만델라 효과와 음모론 사이의 간극은 그리 넓지도 깊지도 않다.
'해외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우 대립의 브라질 선거: 노동자 출신 룰라는 '열대의 트럼프' 보우소나루를 꺾고 재집권 할 것인가? (0) | 2022.10.02 |
---|---|
이탈리아 포스트 파시스트 조르자 멜로니의 생애와 경력 그리고 정치노선 (0) | 2022.09.26 |
조르자 멜로니와 파시즘의 귀환: 파시즘과 극우는 어떻게 이탈리아에서 정상화되었는가? (0) | 2022.09.24 |
마흐사 아미니의 사망: 이슬람 여성복장 규정, 도덕 경찰 그리고 히잡을 넘어선 이란 여성들의 "여성, 생명, 자유" 투쟁 (0) | 2022.09.23 |
음모론의 위험: 믿는 사람의 수가 아니라 존재만으로도 위험 (0) | 202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