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주: 지난 3월 16일 일본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규모 7.4의 강진이 발생하면서 사람들의 머릿속에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 그리고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악몽이 다시 떠올랐다. 16일 지진으로 후쿠시마 제2 원전 일부 원자로의 냉각기능이 일시 정지되고 화재경보가 울렸다는 보도로 인해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한 사회적, 집단적 트라우마는 더 강화되었다. 많은 사람들은 2011년 사고 당시 지진의 진원지에 훨씬 가까웠던 오나가와(Onagawa) 원자력 발전소를 기억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모든 사고가 그렇듯 발생한 참사는 기억되지만 예방된 참사는 망각되기 때문이다. 오나가와 원전은 사고 후쿠시마 원전과 달리 사고와 실패에 준비가 되어 있었기에 후쿠시마와 달리 실시간 대응으로 당시 사고가 참사로 발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각종 위기에 대해 연구하는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군사활동의 용어를 빌어 위기 위기를 촉발하는 사건을 "폭발"(boom)으로 설명하며 위기를 폭발 이전의 방지를 위한 "폭발의 왼쪽"(left of boom)과 폭발에 대한 피해 최소화를 위한 "폭발의 오른쪽"(right of boom)으로 구분한다. 모든 위기와 재난을 다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쓰나미, 대유행, 돌발스러운 전쟁과 같은 위기나 재난은 예방보다 더 안전하게 실패할 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패 자체를 회피하는 것보다 폭발의 오른쪽, 즉 실패 이후를 대비하는 것이 더 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길이다. 이 글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 시절 국토안보부 차관보를 지낸 Juliette Kayyem 하버드 케네디 스쿨의 국토안보 프로그램 교수의 The Atlantic 3월 16일 자 기고 Fukushima’s Earthquakes Show That Risk Is Inevitable의 번역으로 자연재해와 인재, 전쟁 등의 사례를 통해 사고의 참사로의 진화를 막는 길을 분석하고 있다.
후쿠시마 지진은 위험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위험을 받아들이고 실패에 대한 계획을 세우면 커뮤니티가 재난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일본의 작은 해안 마을인 아네요시(Aneyoshi)를 둘러싼 200피트 언덕 위에는 바위에 경고문이 새겨져 있다. 대부분의 메시지는 해안가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했던 19세기 대형 쓰나미 생존자들로부터 온 것이다. 한 비문에서는 “높은 주거지들은 우리 후손의 평화와 조화”라고 선언한다. “대규모 쓰나미의 재난을 기억하십시오. 이 지점 아래에 집을 짓지 마십시오.”
그러나 최근 일본 연안의 거주자들은 그 지점 아래에 건물을 지었다. 처음에는 집들이었지만, 결국에는 핵 시설들이 인근 바닷물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곳에 지어졌다. 2011년 3월 11일, 오시카 반도 동쪽에서 대규모 해저 지진이 발생했다. 6분 동안 지속된 지진은 세계에서 네 번째로 강력한 지진이며, 해발 130피트에 이르는 쓰나미 파도를 일으켰다. 급류 하는 물은 결국 후쿠시마 제1 원자력 시설에서 용융으로 이어졌고, 이 시설에서는 전력 공급이 중단되고 냉각시스템이 차단되어 수소가스가 축적되었다. 놀란 작업자들이 소방차의 물을 이용해 시설을 수동으로 식히려다 가스가 차올라 방사성 물질이 대기와 지하수로 방출됐다. 후쿠시마 현의 일부는 아직 사람이 살 수 없다.
1979년 스리마일 섬과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조사관들은 기계적 고장과 운영자의 실수가 복합적인 원인이라고 비난했다.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의 파국에 대한 통상적인 내러티브는 그날 발전소를 운영하는 사람들에게 다소 더 관대했다. 지진과 쓰나미는 그들의 탓으로 돌릴 수 없었다. 뉴스에 따르면 가장 근본적인 오류는 자연재해에 취약한 곳에 원자로를 설치한 것이었다. 이전 세대들은 문자 그대로 "다시는 안된다"는 경고문을 돌에 새겼다. 발전소 운영자인 도쿄전력이 이를 무시하고 위험한 장소에 건설했기 때문에 비극은 거의 불가피했다.
이것은 깔끔한 이야기를 만들었다. 단 한 가지를 빼면 말이다. 오나가와(Onagawa) 원자력 발전소도 암석 경고 아래에 있지만 지진과 쓰나미를 견뎌냈다. 오나가와는 후쿠시마 제1 원전 시설보다 지진의 진원지에서 약 30마일 더 가까웠다. 그것은 그 지역의 원자력 시설 중, 혹은 역사상 가장 강력한 지반 흔들림을 경험했다. 도호쿠 전력(Tohoku Electric Power Company)에 의해 가동되고 있는 오나가와 원자로는 녹지 않았다. 큰 피해는 없었다. 후쿠시마 제1 원전과 오나가와의 운명은 지구의 움직임으로 설명할 수 없다. 왜냐하면 두 발전소 모두 100년 된 경고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트라우마적 재난 이후에 다시는 안 된다는 말은 흔히 하는 말이지만 지키기 힘든 약속이기도 하다. 기억은 시간이 지나면 희미해진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사회가 변하고 그들의 위험 계산도 변한다는 것이다. 위험을 받아들이는 것 자체가 태만한 것은 아니다.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수십 년 동안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 국내 에너지원이 필요했고, 연안 근처의 원자력 발전소는 국가의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후쿠시마에서의 문제는 오나가와와는 달리 설계자와 관리자가 자신들이 맡은 위험을 인정하거나 준비하지 않았기 때문에 재해 발생 시 발전소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위험한 누락이었다. 인간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사건은 무작위로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특별히 드문 일도 아니다. 실제로, 오늘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수백만 명의 일본인들이 전력 공급이 중단되었고, 쓰나미 발생 가능성에 대해 주민들에게 다시 한번 경계령이 내려졌다. 모든 현대 사회들은 환경적 위험에 직면해 있다. 이들은 복잡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위험한 기술에 의존하고, 사람뿐만 아니라 병원균도 이동시키는 세계 무역과 운송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오나가와의 강점은 간단했다. 원자력발전소 운전자는 고장이 가능하고 어쩌면 불가피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였기에 안전한 고장에 전념했다. 오나가와는 후쿠시마 제1 원전과 마찬가지로 해안 근처에 있었다. 그러나 그 설계자들은 과거 쓰나미를 연구했고 불운한 대응물보다 몇 미터 더 높은 고도에 지었다. 지진이 일어나기 훨씬 전에 도호쿠 전력은 대규모 쓰나미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비상 훈련과 시나리오 계획이 필요했기 때문에 오나가와의 직원들은 이를 폐쇄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일본 기업 문화의 위계적 규범에서 벗어나 본사는 공장 관리자에게 즉시 대응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했다. 간단히 말해서 오나가와의 직원들이 함께 행동했다. 후쿠시마의 소유주는 안전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훨씬 적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붕괴 중에는 모든 위기 결정에 대해 지도부의 승인이 필요했다. 그것은 실시간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내 경력의 대부분 동안 나는 재난을 연구하고 재난에 대한 정부의 대응을 관리했으며 선출된 지도자와 기업 임원에게 재난을 계획하는 방법에 대해 조언했다. 나는 재난(disaster)이라는 단어 자체가 실패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 하는 의무로부터 우리를 그릇되게 면제시킨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중세 프랑스어와 고대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한 이 단어의 원래 뜻은 부정적인 힘을 의미하는 접두사 dis-와 별을 의미하는 astro에서 유래했다. 이는 파괴적인 사건이 우리가 무엇을 하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가 아니라 운명이 우리에게 불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갑작스러운 전환"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재앙(catastrophe)이라는 단어도 비슷한 의미를 가진다. 그것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파괴를 관리할 능력이 없는 수동적인 인구에게 닥치는 불운일 뿐이다.
그러나 우리는 자연재해, 바이러스 변종, 기습 공격 또는 기타 비극에 놀라지 말아야 한다. 악마는 절대 잠들지 않는다고 나는 곧 출간될 책에서 주장한다. 좋은 소식은 갑작스러운 충격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수단은 항상 동일하다는 것이다. 즉, 위험이 전달되고 널리 이해되도록 하는 것,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개인을 준비시키는 것, 안전 시스템의 여유를 보장하는 것, 그러한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것, 니어미스(near miss)*는 미래 재난에 대한 면제를 의미한다는 오류에 도전하는 것, 과거의 실수 후에 조정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역자 주: Near miss는 near hit이나 close call로 불리는 위기일발, 일촉즉발, 구사일생 등을 의미한다. 이는 일종의 계획되지 않은 사건으로 재산상 혹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약간의 조건만 바뀌면 이러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오류의 일종이다.
내 분야의 사람들은 지진, 허리케인, 새로운 바이러스의 출현 등 위기를 촉발하는 사건을 "폭발"(boom)으로 설명하며 시간과 인간 활동을 "폭발의 왼쪽"(left of boom, 폭발 이전 - 역자 주)과 "폭발의 오른쪽"(right of boom, 폭발 후 - 역자 주) 두 단계로 구분한다. 전자에는 폭발이 처음부터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취하는 조치가 포함된다. 후자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그 직후와 몇 주, 몇 달 후 우리가 하는 일이다. 그러나 더 이상 재난을 놀라운 순간으로 여기지 않는다면 더 잘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더 안전하게 실패할 준비를 하는 사회, 폭발의 오른쪽에 대비하는 사회는 실패 자체를 피하는 데 대부분의 노력을 집중하는 사회보다 강하다.
후쿠시마 제1 원전의 운영자는 이들 중 어느 쪽도 충분히 하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대한 원폭 투하 이후 일본의 많은 사람들은 국가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원자력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했다. 일본의 주요 원자력 발전소인 TEPCO는 본질적으로 모든 위험을 제거했다고 스스로를 설득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를 조직한 변호사인 시오자키 아키히사(Akihisa Shiozaki)에 따르면, 이 나라는 원자력의 "절대적 안전"이라는 신화를 팔았다. 이후 정부 보고서는 원자력 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준비성이 "결과적 피해를 제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무시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대신, 더 많은 원자로가 건설됨에 따라 지역 반대를 관리해야 했으며, 이는 많은 경우 최악의 시나리오의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했다.
폭발의 오른쪽에 대한 계획을 세우지 않는 것은 기후 변화로 인해 악화되는 극단적인 날씨 사건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갑작스러운 충격을 다른 경우보다 훨씬 더 치명적으로 만든다. 2017년 허리케인 마리아(Maria)가 푸에르토리코를 강타했다. 오늘날까지도 그곳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죽었는지 모른다. 사망자 추정치가 매우 다양한 이유 중 하나는 대부분의 사망자가 허리케인 자체의 직접적인 결과가 아니라 정전의 '후속 결과'(downstream consequence)이기 때문이다. 손실은 확대되었다. 전기가 없는 상화에서 물, 음식, 의약품이 부족으로 인해 사람들이 취약해졌다. 전력 기반 시설의 손상은 허리케인의 예측 가능한 결과이다. 처음부터 실패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할 수 있었을 복원 준비의 부재 속에서 배전망의 더 빠른 복원은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 논리는 자연재해 이후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전쟁 이전에 군대는 도시 전쟁과 급조 폭발물(IED, improvised explosive device) 시대에 전장-의학 규칙을 적용하지 않았다. 기존 규칙은 부상당한 병사를 적진에서 메딕 텐트로 옮기거나 기지로 돌려보내는 것을 우선시했다. 그러나 미국의 9/11 이후 전쟁에서 이러한 적진이 항상 명확하게 정의된 것은 아니었고 많은 부상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기도 전에 출혈로 사망했다. 미 국방부는 미군 부상 방지를 위해 갑옷 설계와 지뢰 방어, 매복 방어 소형전술차량(Light Tactical Vehicle)에 막대한 투자를 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 사항으로는 충분하지 않았다. 폭발의 오른쪽(ROT, Right-of-boom) 프로토콜도 진화해야 했다. 따라서 군대는 IED 공격으로 부상당한 팀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즉시 지혈대를 사용하도록 대부분의 의무병이 아닌 야전 군인을 훈련시키기 시작했다. 이후 "출혈 방지"(Stop Bleed)라는 민간 대중 인식 캠페인을 낳은 이러한 노력은 생명을 위협하는 사건이 이미 발생한 후에도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었다.
안전하게 실패하도록 계획하는 것은 모든 위험을 제거하려는 것과 다르다. 이는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계적 대유행이 시작된 지 2년이 된 이 시점에서 엄격한 봉쇄조차도 코로나바이러스의 모든 전파를 막을 수 없을 것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가 최근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주요 지표로 전체 감염보다 사망 및 입원 비율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을 때, 이 기관은 암묵적으로 바이러스를 완전히 억제하기보다는 바이러스의 부정적인 결과를 최소화하기로 선택했다. 게다가 한 종류의 위험을 없애려는 시도는 다른 위험을 악화시킬 수 있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 독일은 원자력 발전을 완전히 단계적으로 중단하기 시작했는데, 이 결정으로 인해 독일은 러시아의 화석 연료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다.
의도적으로 위험을 감수하고 재난이 닥쳤을 때 대비하는 것이 완벽한 안전을 달성할 수 있는 척하는 것보다 인간 사회에 더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는 지진이나 쓰나미를 막을 수는 없지만 그것이 초래하는 죽음과 파괴의 정도는 통제할 수 있다.
후쿠시마에서 일어난 일은 단지 불운만이 아니었으며, 오나가와가 운이 좋았던 것은 아니다. 일본 이외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오나가와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 왜냐하면 오나가와는 후쿠시마에서 대재앙으로 판명된 동일한 조건에서 실패할 준비가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재난 관리에서 명성이 아니라 익명이 성공의 표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