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83

'도쿄 2020' 올림픽: 일본은 코로나 19를 통제하고 있는가?

도쿄 올림픽과 패럴림픽이 빠르게 다가옴에 따라, 의학 전문가들로부터 올림픽에서의 코로나 19의 확산 가능성에 대한 경고가 있었다. 올림픽은 7월 23일에 시작되며 주최측은 국내 팬들이 경기장에 최대 1만 명*까지 입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패럴림픽은 8월 24일에 시작되며, 7월 16일까지 관중 수가 확정된다.** * 역자 주: 아사히 신문의 계산에 따르면, 상한선을 5천명이라고 해도, 도쿄 임해부의 반경 1.5킬로 권내에, 1일 최대 총계 6만 8천명 정도의 관객이 전망된다. 대회 자원봉사자 등도 포함하면 인원은 더 늘어난다. ** 올림필 조직위에 따르면 도쿄 올림릭 공식 수입은 67억 달러이며, 전체 예산은 154억 달러로 계산상으로 보면 현재 87억 달러 적자이다. 일본의 코로나 19 감염 ..

코로나19 2021.06.22

코로나 19 백신 접종 현황과 나라별 사용 중인 백신: 전 세계 인구 21.5%와 한국 인구 27.7%, 적어도 1회 이상 백신 접종

전 세계와 한국의 코로나 19 백신 접종 현황 Our World in Data(OWID) 백신 통계에 따르면 6월 19일 현재 세계 인구의 21.5%, 16억8천만 명이 적어도 1회 이상의 코로나 19 백신을 투여받았다. 이 가운데 백신 접종이 완료된 인구는 7억6천만 명이다. 한국은 6월 17일 현재 백신 접종이 완료된 인구는 7.6%(388만 명), 부분적으로 접종을 받은 인구는 20.1%(1,035만 명)이다. 질병 관리청의 6월 20일 현재 통계에 따르면 접종 완료자는 404만 명이며, 1차 접종 완료자는 1,501만 명으로 증가했다. 1백 명당 1일 접종량을 보면, 전 세계 평균은 1일 1백 명당 0.48명이 백신을 접종받고 있다. 한국은 6월 17일 현재 1백 명당 1.37명이 백신을 접종받고..

코로나19 2021.06.20

코로나 19, 알파, 베타, 감마, 델타란 명명법(nomenclature)변화의 의미, '우려 변이'와 '관심 변이'의 차이, 그리고 각 변이에 대한 각종 백신 효과

질병 명명법의 정치학: 스페인 독감, 돼지 독감, 그리고 '중국 바이러스'라는 명명법(nomenclature)의 낙인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이 백악관 기자들 앞에서 코로나 19를 "중국 바이러스"라고 공공연히 칭한 이후 미국에서 아시아인에 대한 혐오 범죄가 급증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아시아인이 많이 거주하는 캘리포니아 오렌지 카운티의 아시아인 상대 혐오 사례는 1,200% 증가했고,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경우도 115% 증가했으며, 급기야는 지난 3월 애틀랜타 스파숍 총격 사건으로 8명이 숨진 가운데 한국계 여성 4명을 포함한 동양인이 6명이 포함되어 충격을 더 하고 있다. 한국 일부 언론, 특히 보수적인 기조를 유지했던 언론들은 초기에 코로나 19 바이러스를 고집스럽게 '우한 바이러스'라고 부르기도 ..

코로나19 2021.06.19

코로나 19 델타 변이(B.1.617.2), 최근 영국 코로나 19 감염의 99% 차지

델타 변이 코로나 19 변이 감염자의 99% 차지 영국에서 인도 변이(B.1.617)의 아계통으로 알려진 델타 변이(B.1.617.2)의 총환자 수는 현재까지 75,953명으로 증가했으며, 데이터에 따르면 이 변이는 현재 코로나 변이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정부의 긴급 과학 자문 그룹(Sage)에 따르면, 영국의 최신 감염재생산지수(R)는 1.2에서 1.4 사이이며, 새로운 코로나 감염의 수는 하루에 3%에서 6%까지 증가하고, 북서쪽에서는 하루에 5%에서 8%까지 증가한다고 한다. Sage는 데이터가 지연된다는 것은 이 수치가 약 2~3주 전 코로나 확산을 나타낸다는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전체 게놈 시퀀싱(whole-genome sequencing)과 유전형 분석으로 알려진 보다 신속한 접근 방..

코로나19 2021.06.18

코로나-19 주요 변이(영국, 남아프리카, 브라질, 인도 델타) 전 세계 확산 정도와 백신 효과

새로운 인도 변이와 그 아계통(亞系統, sublineage)의 출현과 코로나 19 감염 확산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19는 5월 둘째 주부터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기존 코로나 19 바이러스보다 더 높은 감염력과 입원율과 중증 증세를 초래하는 새로운 코로나 19 변이의 등장과 증가는 일부 국가에서 코로나 19 감염을 급증시키고 있다. 특히 인도의 코로나 19 급증은 인도 변이(B.1.617)와 그 아계통(亞系統, sublineage)의 확산으로 인한 것이다. WHO에 따르면 인도에서 최근 수집된 샘플에서 인도 변이 B.1.617은 감소하고 있지만 그 아계통 B.1.617.1과 B.1.617.2는 최근 각각 21%와 7% 증가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기존의 영국/알파 변이, 남아프리카/베타 변..

코로나19 2021.05.31

[번역] 코로나 19: 백신을 넘어선 시급한 공중 보건 조치의 필요성 (대역병 억제를 위한 란셋 코로나 19 공중보건대책위원회)

역자 주: 이 글은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되고 저명한 의학 저널 중의 하나인 란셋(Lancet)의 '대역병 억제를 위한 란셋 코로나 19 공중보건대책위원회'가 3월에 발표한 이란 소책자를 번역한 것이다. 이 글은 코로나 19 변이의 출현으로 일국의 백신 접종만으로는 코로나 19 확산을 저지할 수 없으며, 백신 접종에 수반된 공공보건조치와 글로벌 백신 협력 및 변이의 지역감염화 억제를 강조하고 있다. WHO의 3월 30일 자 '주간 역학 리포트'에 따르면 현재 영국 변이는 130국, 남아공 변이는 80개국, 브라질 변이는 45개국으로 확산하고 있다. 한국의 코로나 19 변이는 2021년 2월 1일 현재 34건(영국 변이 23건, 남아공 변이 6건, 브라질 변이 5건)에서, 3월 11일 현재 182건(영국 변..

코로나19 2021.04.07

세계와 한국 코로나 19 변이와 백신 접종 현황과 면역의 보건적·사회적 효과(이스라엘 사례를 중심으로)

WHO의 2021년 3월 23일 '코로나 19 감염병 업데이트'에 따르면 1월 초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던 감염사례가 2월 중순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신규 감염자는 약 329만 명으로 전주에 비해 8% 증가(누적 약 1억2천2백만 명)했으며, 그동안 감소세에 있던 사망자 수도 6만 명으로 3% 증가(누적 270만 명)했다. 증가의 원인은 방역 조치 완화와 피로감도 있지만 코로나 19 변이 확산과 관련되어 있다. 특히 이 변이들은 감염력과 중증 입원율, 치명률에서 기존 코로나 19 바이러스보다 높으며, 간헐적 개별 사례 보고에서 지역감염과 같은 집단감염으로 확대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1. 코로나 19 영국, 남아프리카, 브라질 변이와 백신 효과 1-1. 코로나 19 영국변이 코로나 19 영국 ..

코로나19 2021.03.26

WHO 코로나 19 대역병 선언 1년-3: 고용, 불평등, 젠더, 장애에 대한 영향

- 코로나 19로 전 세계 2억5천만 개 고용 손실, 1억1천4백만 개 일자리 상실 - 10억 달러 이상 부자들 재산은 3조9천억 달러 증가, 노동자 수입 3조7천 달러 감소 - 미국 5대 부자 대역병 기간 동안 자산 85% 증가 - 가정 폭력 증가와 여성의 무급노동 증가 - 피임과 낙태 서비스 기회 차단 - 트랜스젠더 빈곤, 임금삭감, 실업율 일반인 보다 심각 - 지적 또는 발달 장애인 사망율 일반인 2배 실업 바이러스, 2억5천만 개 고용 손실 국제노동기구(ILO)는 코로나 19로 인해 전 세계 노동자의 93%가 직장 제한을 받았다. 코로나 19로 인한 세계 노동시간 손실은 8.8%며, 이는 약 2억5천5백만 개의 풀타임 고용 손실에 달한다고 밝혔다. 또한 약 1억1천4백만 개의 일자리가 코로나 19..

코로나19 2021.03.15

WHO 코로나 19 대역병 선언 1년-2: 정치, 공공생활, 교육에 대한 여파

- 코로나 19 대역병, 신자유주의의 공공성 해체의 문제점 폭로 - 7천만명 메이저리그 관중 수 0명 - 2020년 콘서트 산업 손실은 90억 달러 - 화상통화 플랫폼 zoom 참여자 수는 2019년 12월 1천만명-->2020년 4월 4억 명 - 전 세계 학생 84.5%인 14억8천만 명 등교기회 박탈 - 3억7천만 명 아이들의 390억 회의 학교급식 증발 X-ray 바이러스, 자유 민주주의와 신자유주의의 실체 폭로 The Atlantic지는 코로나 19를 '적'으로 표현하며 '코로나 19와의 전쟁'을 선언한 영국 총리 보리스 존슨을 비판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코로나 19는 글로벌 대역병이며, 과학적 우수성, 행동 신속함, 스마트한 정부와 대중의 협력을 요구하는 의학적 도전이다. 지금까지 최고의 대응..

코로나19 2021.03.15

WHO 코로나 19 대역병 선언 1년-1: 생물학적·사회적 사건

"질병이 아니라 공포가 사회를 갈가리 찢어 놓을 수 있다"는 의 저자 존 베리(John Barry)의 발언은 대역병은 단지 생물학적 사건이 아니라 거대한 사회적 사건임을 암시한다. 그는 당국과 언론의 통제와 거짓말이 사람들로 하여금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가로막았다고 지적한다. 그는 "권위를 가진 위치에 있는 이들은 사회의 모든 구성원을 소외시킬 수 있는 패닉을 줄여야 하며, 모두가 각자도생하는 사회는 기능할 수 없고, 문명은 그 속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며 투명함과 공동의 대응을 1918년 소위 스페인 독감의 마지막 교훈으로 제시했다. 코로나 19가 글로벌 대역병으로 선언된 지 1년이 됐다. 이제 이 사건의 의미와 그 영향을 뒤돌아볼 때가 됐다. 대역병(pandemic), 생물학적 사건을 넘어..

코로나19 2021.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