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96

ChatGPT, DAL-E 등의 인공지능(AI) 도구는 창의적, 지식 노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ChatGPT는 지난해 11월 출시 이후 이례적인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챗봇인 이 인공지능 프로그램은 인생에 대한 거대한 질문과 사소한 문제에서부터 대학 에세이, 허구적인 이야기, 심지어 입사 지원서까지 작성할 수 있다. ChatGPT는 인간 전문가들의 세심한 지도와 함께 인터넷의 엄청난 양의 텍스트에서 얻은 것을 끌어냄으로써 이러한 작업을 수행한다. 최근 몇 주 동안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ChatGPT에 이러한 질문들을 던지고 답을 받았다. 그 답들은 때때로 아주 틀리더라도 자신감 있고 유창하게 쓰여 있다. 대규모 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로 알려진 AI는 책, 대화, 웹 기사의 형태로 수천억 단어를 공급받으며, 여기서 그것은 통계적인 확률에 기초한 단어와 문장의 모델을..

해외 시사 2023.01.15

북한의 군사력의 종합적 분석: 북한의 핵과 미사일 능력, 대량살상 무기, 재래식 군사력, 사이버 역량

북한의 미사일 시험이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는 북한의 군사화와 핵능력을 억제하는데 별다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소폭탄을 개발했다는 북한의 선전이 과장일 수 있지만, 북한이 핵 능력을 키워오고 있다. 북한은 실제로 미국과 러시아를 포함해 세계 핵보유 9개 국가 중 2000년대 유일하게 실제 핵실험을 계속하고 있는 나라로 분명 한반도는 물론 세계적 차원에서 실질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위협에도 불구하고 핵부터 사이버 테러에 이르기까지 북한의 군사력을 다방면에 걸쳐 분석한 글을 접하기는 쉽지 않다. 이 글은 미국외교협회(CFR) 편집진의 2022년 6월 28일 자 글 North Korea’s Military Capab..

국내 시사 2023.01.14

독일의 시대착오적 쿠데타 시도: 신구 극단주의와 좌우 극단주의의 새로은 합종 연횡

지난해 12월 전 세계는 쿠데타를 도모하던 독일 극우집단의 체포 뉴스에 경악했다. 의회민주주의가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는 독일에서 기존의 군주정 복고를 꿈꾸던 세력이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했다는 사실은 그 자체만으로도 충격적이면서도 기이한 현상이었다. 하지만 기존의 유럽사회의 주변에 존재했던 극우 정치세력이 이탈리아와 스웨덴, 프랑스, 독일 등에서 제도정치에 진입 혹은 그것을 뛰어넘어 집권당으로 등장하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경제적 불황과 생활비 상승이 가중되며 이슬람과 이민자에 대한 혐오감이 더 확대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그리고 코로나19 전후로 우파는 물론 좌파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치세력의 교차와 연대가 이루어지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이 독일의 쿠데타 시도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신구 극단..

해외 시사 2023.01.13

오존층 복구 정책의 성공: 오존층 파괴 발견의 역사, 정책 전개와 성공의 배경, 그리고 기후 변화 대책과의 비교

지구 곳곳을 황폐화하고 있는 지금, 환경에 대한 희소식은 정말 드물다. 하지만 유엔 환경 계획 (UNEP)은 지난 1월 9일, 지구상의 생명체를 보호하는 데 필수적인 오존층이 향후 40년 안에 완전히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는 대기권 상층부의 중요한 층을 파괴해 온 화학 물질 사용을 중단하려는 국가들의 최근 세계적인 노력의 성공이다. 1970년대에 과학자들은 처음으로 프레온 가스로 알려진 클로로플루오로카본(chlorofluorocarbons, CFCs)이 대기의 높은 오존을 고갈시키고 있다고 판단했다. 1980년대 중반까지 연구자들은 남극 상공 오존에 구멍이 있음을 발견했고 이를 복구하기 위한 긴급한 국제적 노력을 촉발했다. 100개 이상의 오존층 파괴 화합물이 결국 금지되고 단계..

환경과 에너지 2023.01.12

바다의 헌법이라 불리는 '해양법에 관한 유엔 협약' 40주년: 그 탄생 배경과 역사 그리고 발전 과정

해양을 위한 헌법이라 불리는 해양법에 관한 유엔 협약(UNCLOS)이 2022년 40주년을 맞이했다. 공해에서의 항행의 자유, 영해에 대한 무해통항, 국제해협에서의 통과통항, 배타적 경제수역(EZZ), 심해저의 인류공동유산으로 인정, 해양환경보전 등 해양을 둘러싼 주권과 같은 오래된 문제뿐만 아니라 해양환경 보호와 같은 비교적 최근 문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냉전시대의 산물임에도 불구하고 UNCLOS는 지난 40년 동안 전통 해양강국과 개발도상국 그리고 군도 국가들 사이의 대립을 타협과 절충으로 해결하였으며, 탄력적인 운용과 현실 적응력을 보여왔다. 이 글은 Le Monde diplomatique 영문판 2023년 1월 호에 게재된 Didier Ortolland의 글 ‘The mos..

해외 시사 2023.01.11

북한 핵-미사일 관련 타임라인 8(2019년-2020년): 2차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과 2020년 남북대화 중단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대북제재가 계속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의 뿌리는 물론 1950년 한국전쟁이다. 그러나 비교적 최근의 직접적인 뿌리는 1980년대 중반, 북한의 핵확산방지조약(Nonproliferation Treaty, NPT) 가입 이후 계속된 북한의 핵문제를 둘러싼 미국과 북한의 대립 그리고 북한과 한국의 긴장이다. 앞으로 1985년부터 2022년까지 북한의 핵문제를 둘러싼 타임라인을 몇 차례에 걸쳐 게재할 생각이다. 여기에 제시된 타임라인은 군축협회 (Arms Control Association)와 미국외교협회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그리고 해외 기사들 중 북한 핵 및 미사일과 관련된 것들을 참조했다. 따라서 이 글을 읽는 분들은 비교적 객관적으로 보이는 타임라인일..

국내 시사 2023.01.10

신자유주의와 신식민주의의 첨병 국제통화기금(IMF)은 제 역할을 하고 있나?: IMF의 역사, 과제, 전망과 도전

1997년, 한국에 소위 IMF위기로 알려진 '동아시아 금융위기'는 기존 서구의 시장주도 자유시장경제 모델에 대한 성공적인 대안으로 알려진 국가주도 개발국가 모델을 해체하고 신자유주의를 강요했다. IMF는 이미 1980년대 중남미에서 긴축 경제 정책, 복지체제 해체, 규제 완화, 작은 정부, 공기업 민영화 등으로 악명을 떨쳤던 신자유주의 모델을 한국 등과 같은 성공적인 국가주도형 경제성장을 이끈 나라들에 구제금융을 미끼로 압박했다. IMF는 2008년 세계적인 불황 속에서 기존의 신자유주의적 긴축 정책이 경제 성장과 불균등 해소는 커녕 이를 더 악화시켜왔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미국의 입김이 강력하게 작용하는 IMF는 과거의 오류에서 벗어나기 위해 최근 리즈 트러스 영국 총리의 신자유주의적 긴축 정책을 시..

경제 2023.01.09

인간은 하루 몇끼를 먹어야 하나?: 삼시 세끼의 건강 효과 그리고 세끼 식사 습관의 역사

인간이 하루 세끼를 먹기 시작한 것은 놀랍게도 최근 역사에 속한다. 일단 하루 세끼를 먹기 위한 식량의 보장과 그러한 규칙적 생활환경이 있어야 인간의 세끼 식사는 가능하다. 원래 유럽 귀족들의 습관이었던 하루 세끼는 산업화와 함께 출퇴근과 공장에서의 노동이 확대되면서 대중화되었다. 하지만 1, 2차 세계대전으로 식량공급이 배급제로 이행하면서 유럽에서의 하루 세끼 식습관은 잠시 중단되었다. 하지만 일일 세끼 식사는 전후 다시 부활하고 더 풍부해진 식량으로 더 풍성해졌다. 하지만 성인병의 증가와 현대인의 활동량 감소는 다시 일일 세끼 식사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 글은 Jessica Bradley의 BBC Future 2022년 4월 17일 자 기사 Should we be eating thr..

식량과 음식 2023.01.08

지구 온난화 부정론과 회의론 및 대책 불필요론에 대한 반박

기후변화를 부정하는 사람들의 입장은 기후변화 자체를 완전히 거부하는 적극적인 부정부터, 기후변화를 인정하지만 그것이 인간의 활동에 의해 야기된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부분적 부정, 그리고 기후변화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그 과학적 근거에 회의를 표시하는 소극적 회의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21세기 들어 강화된 음모론과 함께 기후변화 부정론자들은 기후변화가 리버럴 혹은 좌파와 같은 특정 정치적 입장과 소수 엘리트들이 꾸며낸 음모라는 주장을 펼치며 힘을 얻고 있다. 기후변화 부정론자들은 자신의 논리에 설득력을 강화하기 위해 종종 '과학'의 힘을 빌린다. 이들은 온난화 부정과 온실가스의 온난화와의 관계 부정 그리고 온난화의 부정적 효과 부정과 같이 온난화에 대한 이론적 부정을..

환경과 에너지 2023.01.06

미국 초콜릿은 왜 유럽 초콜릿보다 역겨울까?: 카카오와 설탕 함유 차이를 넘어선 보건체제의 차이

같은 제품이라도 유럽과 미국에서 생산된 초콜릿의 맛은 초콜릿 초보자라도 금방 눈치챌 만큼 확연히 다르다. 같은 초콜릿 제품일지라도 유럽에서 제조된 것은 색이 어둡고, 맛이 깊고 풍부한 반면 미국에서 제조된 것은 색이 좀 더 밝고, 맛이 가볍고 더 달다. 그 차이는 무엇보다도 주요 성분의 함량에서 비롯된다. 첫째, 미국에서 제조된 초콜릿의 카카오 함량은 약 10%에 불과하지만 유럽에서 초콜릿은 적어도 20% 이상의 카카오를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영국식 캐드베리 초콜릿 제품을 미국에서 생산하는 허쉬는 11%의 카카오를 첨가하는데 비해 영국에서는 20% 이상을 첨가한다. 둘째, 카카오 함량이 적은 대신 미국산 초콜릿의 설탕 함유량을 유럽보다 훨씬 높다. 그래서 유럽 초콜릿은 쓴 맛이 강한 반면 미..

식량과 음식 202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