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96

윤석열을 계기로 본 번외 대선 후보들의 흥망사 3: 고건부터 윤석열까지

필자 주: 윤석열 검찰총장의 사퇴와 동시에 그의 지지율이 치솟고 있다. 윤석열은 총장직 사퇴를 사직서 제출이 아닌 기자회견의 형태로 함으로써 향후 정치 행보를 노골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과연 그의 지지율은 반짝 현상일지 아니면 지속 가능한 것인지를 과거 한국 대통령 선거사에서 명멸했던 주요 번외 후보들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첫 번째 글에서는 조봉암, 김대중, 정주영을 다룰 것이며, 두 번째 글에서는 이인제, 노무현, 정몽준, 문국현을, 그리고 세 번째 글에서는 고건, 반기문, 안철수 그리고 윤석열을 다룬다. 특히 번외 후보가 성공하기 위한 권력의지, 조직 기반, 바람, 비전의 4 조건을 중심으로 각각의 번외 후보 사례들을 분석한다. 고건, 행정의 달인이지만 정치 초보인 안이한 오버독의 퇴장 제17대 ..

국내 시사 2021.03.10

윤석열을 계기로 본 번외 대선 후보들의 흥망사 2: 이인제부터 문국현까지

필자 주: 윤석열 검찰총장의 사퇴와 동시에 그의 지지율이 치솟고 있다. 윤석열은 총장직 사퇴를 사직서 제출이 아닌 기자회견의 형태로 함으로써 향후 정치 행보를 노골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과연 그의 지지율은 반짝 현상일지 아니면 지속 가능한 것인지를 과거 한국 대통령 선거사에서 명멸했던 주요 번외 후보들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첫 번째 글에서는 조봉암, 김대중, 정주영을 다룰 것이며, 두 번째 글에서는 이인제, 노무현, 정몽준, 문국현을, 그리고 세 번째 글에서는 고건, 반기문, 안철수 그리고 윤석열을 다룬다. 특히 번외 후보가 성공하기 위한 권력의지, 조직 기반, 바람, 비전의 4 조건을 중심으로 각각의 번외 후보 사례들을 분석한다. 이인제, 바람을 거스른 오버독의 몰락 이인제는 김영삼과의 인연을 통해..

카테고리 없음 2021.03.10

윤석열을 계기로 본 번외 대선 후보들의 흥망사 1: 조봉암부터 정주영까지

필자 주: 윤석열 검찰총장의 사퇴와 동시에 그의 지지율이 치솟고 있다. 윤석열은 총장직 사퇴를 사직서 제출이 아닌 기자회견의 형태로 함으로써 향후 정치 행보를 노골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과연 그의 지지율은 반짝 현상일지 아니면 지속 가능한 것인지를 과거 한국 대통령 선거사에서 명멸했던 주요 번외 후보들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첫 번째 글에서는 조봉암, 김대중, 정주영을 다룰 것이며, 두 번째 글에서는 이인제, 노무현, 정몽준, 문국현을, 그리고 세 번째 글에서는 고건, 반기문, 안철수 그리고 윤석열을 다룬다. 특히 번외 후보가 성공하기 위한 권력의지, 조직 기반, 바람, 비전의 4 조건을 중심으로 각각의 번외 후보 사례들을 분석한다. 대한민국의 정치는 늘 대선과 대선 후보들의 일상을 산다. 대선이 끝나..

국내 시사 2021.03.10

음식물(계란, 토마토 등) 투척의 정치사: 클라디우스 황제부터 현대까지

음식 항의food protests)와 항의 음식(protest foods)의 차이: 목적과 수단 얼마 전 민주당 이낙연 당대표가 춘천을 방문했다 계란 투척을 당했다. 먹을 것으로 항의를 표시하는 행위는 현대에 들어와 자주 목격되는 장면들이다. 이 글에서는 항의 음식(protest foods)을 다룬다. 항의 음식은 음식 항의(food protests)와 구별된다. 항의 음식은 수중의 먹는 음식물을 내 던지는 시위며, 음식 항의(food protests) 혹은 식량 반란(food riots)은 반대로 수중에 먹을 식량과 음식이 없을 때 이를 쟁취하기 위한 시위 행동이다. 음식 항의의 목적과 내용은 식량과 음식이지만, 항의 음식의 목적과 내용은 음식이 아니다. 항의 음식에서 음식은 수단이며 그 자체가 목적은..

국내 시사 2021.03.07

코로나 19 재확산과 변이(남아프리카, 영국, 브라질)의 세계 각국 확산 상황

코로나 19 변이 특징 6주간 계속되었던 전 세계 코로나 19 감소세가 멈추고 3월 2월 현재 코로나 19 감염자 수가 지난주에 비해 약 7% 증가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동부 지중해(14%), 동남아시아(9%), 유럽(9%), 미주(6%) 등이 이 증가세를 견인했다. WHO 이러한 증가의 가능한 원인으로는 전염력이 더 강한 변이의 출연, 공중 보건 및 사회 조치의 완화, 그리고 이러한 조치 준수에 대한 피로 등 3가지를 꼽았다. 그중 가장 심각한 것은 감염력이 더 강한 변이의 출현이다. 현재까지 보고된 코로나 19 주요 변이 바이러스는 영국형, 남아프리카형, 브라질형이다. 코로나 19 변이 바이러스들은 '오리지널' 코로나 19 바이러스보다 전염력이 강하다. 영국 변이바이러스는 '오리지널' ..

코로나19 2021.03.05

메타 동화로서 영화 미나리, 그 상징과 의미들

필자 주: 이 포스팅은 영화 미나리의 결말을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약간의 스토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메타 동화로서 영화 미나리 논밭에서 더이상 일할 수 없어 방구석으로 밀려난 할머니가 그 구석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아이들에게 잠자리에서 동화를 들려주는 일이다. 그래서 그 할머니들의 동화는 늘 아이들이 접할 수 없는 “옛날 옛적에”(Once upon a time)라는 구절로 시작한다. 그러나 영화 미나리의 할머니 순자는 옛날이야기를 들려주는 할머니가 아니며, 손주의 말대로 “한국 냄새가 나는 할머니 같지 않은” 할머니다. 그래서 순자가 손주들에게 들려주는 동화는 “옛날 옛적에”란 동화로 시작하지 않는다. 대신 순자는 발터 벤야민이 꼽은 동화의 또 다른 공통점인 결말,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답니다”(Ha..

문화/영화 2021.03.05

세계 코로나 19, 1년: 대역병의 기원과 그 발전의 8개 국면

코로나 19가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처음 보고됐을 때 그 시작은 미약하였지만, 1년이 지난 지금 그 전개는 '창대'했다. 아사히 신문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세계의 1년'이란 제목 아래 코로나 19의 시작부터 1년의 과정을 모두 8단계로 나누어 그 단계별 특징을 아래와 같이 간명하게 요약했다. 제1국면(2019/12/31): 원인불명 폐렴 보고 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검출 중국은 2019년 12월 31일 우한시에서 원인 모를 폐렴 집단 감염이 확인됐다고 세계보건기구(WHO)에 보고했다. 2020년 1월 9일에는 국영 미디어의 보도로, 중국의 전문가 그룹이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를 검출했다. 첫 집단 감염은 화남 해물 도매시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시는 23일부터 전역에서 시민의 이동을 제한하..

코로나19 2021.03.03

코로나 19 백신 빨리 맞기: 미국의 "백신 사냥꾼"(Vaccine Hunter) 운동

백신 하이에나 요즈음 미국에서는 "백신 청소부"(vaccine scavengers) 혹은 "백신 사냥꾼"(vaccine hunters)들이 심심치 않게 뉴스를 장식하고 있다. 쉽게 말하면, 이들은 백신 접종소에서 그날 사용하고 남아 폐기 처분될 백신을 맞기 위해 대기하는 사람들이다. 얼마 전 CBS의 The Talk의 공동 진행자 어맨다 클루츠(Amanda Kloots)가 인스타그램에 백신 접종소에서 예약한 백신 접종자들의 접종을 마치고 남은 백신을 기다리고 있다가 맞은 사진을 올려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최근에는 이렇게 폐기 위기의 백신을 맞기 위해 하이에나처럼 찾아다니는 사람들의 움직임이 미국에서 일종의 운동처럼 조직화되고 있다. 백신 사냥의 원리와 목표 백신 사냥은 권력과 재력을 이용해 남의 접종 ..

코로나19 2021.03.02

코로나 19 백신 빨리 맞는 방법: 권력형 백신 새치기부터 백신 청소부까지

코로나 19 백신 빨리 맞기 천태만상: 백신 새치기(queue jumping)부터 백신 청소부까지 코로나 19 백신 접종이 작년 12월 13일 영국에서 시작된 이래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2월 27일 현재 전 세계에서 최소한 1회 이상의 코로나 19 백신주사를 맞은 인구는 약 2억4천만 명이다. 이스라엘은 전체 인구의 약 54%가 1회 이상 코로나 19 백신 주사를 맞았으며, 2회 주사로 백신 접종을 완료한 숫자도 전체 인구의 약 38%다. 그러나 대부분의 나라에서 백신 접종은 노약자, 의료진, 필수업종 종사자 등 우선 집단에 제한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이 우선 집단에 포함되지 못한 이들이 백신을 빨리 맞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백신 새치기'를 하고 있다. 지금까지 드러난 백신 새치기는 권력과..

코로나19 2021.03.01

그 많던 농민들은 어디로 갔을까?: 사라지는 세계의 농민들

영양 부족과 영양 과잉의 이중 영양문제와 8억명의 기아 인구 인류는 오래전부터 영양부족과 영양 과잉이라는 이중의 영양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 이중영양 문제는 막대한 식량 손실과 음식물 쓰레기라는 비효율성을 통해 분명히 드러난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전 세계적으로 식량 손실이나 낭비가 전체 생산 식량의 30~5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량 손실은 주로 수확 후에 발생하며, 개발도상국에서는 더 자주 문제가 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는 매년 약 2억 2천만 톤의 식량이 낭비되는 것으로 추산되며, 부유한 국가들의 주된 문제이다. 이 식량 손실과 음식물 쓰레기 다른 편에는 세계적으로 기아에 시달리는 약 8억 명의 인구가 있다. 2019년 유엔의 >식량안보와 영양 상태> 보고에 따르면 세계 인구..

해외 시사 2021.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