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3

코로나 19가 허리둘레에 미치는 영향: 미국, 2011년 비만인구 35% 주 0개에서 2021년 16개 주로 급증

* 코로나 19 대역병은 코로나 바이러스 외적 차원에서도 공중보건뿐만 아니라 개인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코로나 19로 인해 다른 질병에 대한 재원이 삭감되었다. 코로나 19는 또한 실업, 소득 감소, 그리고 집에서의 좌식 생활 증가로 이어저 비만의 증가로 이어졌다. 이러한 비만은 특히 흑인과 라틴계처럼 저소득층과 필수 노동력이 집중된 인종에게 있어서 더 심각하다. 10년 전만 하더라도 비만 인구 비율이 35%가 넘는 주는 없었으나 2021년 이 비율은 16개 주로 늘어났다. 이 기사는 NPR의 9월 29일 자 기사 Obesity Rates Rise During Pandemic, Fueled By Stress, Job Loss, Sedentary Lifestyle 번역으로 대역병 기간 동안..

건강 2021.09.30

세계와 한국의 비만율과 과체중: 전 세계 사망자 8%, 비만이 원인

비만, 매년 472만 명 조기 사망 초래 비만은 세계에서 가장 큰 건강 문제 중 하나이며, 고소득국가들만의 문제에서 중저소득국들까지 모든 소득 수준 국가들의 문제로 바뀌었다. '글로벌 질병 부담'(The Global Burden of Disease)은 저명 의학저널 란셋(The Lancet)에 발표된 사망과 질병의 원인과 위험요인에 대한 주요한 세계적 연구이다. 아래 차트는 이 연구에 기초한 광범위한 위험요인에 기인하는 연간 사망자 수 추정치이다. 높은 체질량지수로 정의되는 비만은 심장병, 뇌졸중, 당뇨병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암을 포함한 세계 주요 사망원인의 위험요소이다. 비만은 이러한 건강상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야기하지는 않지만 발생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글로벌 질병 부담' 연구에 따르면 ..

건강 2021.05.05

체중계, 몸을 길들이다 3-3: 체중과 체중계의 사유화와 사회적 체중

필자 주: 이번 글에서는 1980년대 이후 체중과 체중의 사유화, 체중의 세분화와 사회적 체중, 그리고 신자유주의와 다이어트의 관계, 비만의 사회적 낙인화와 개인적 일탈화와 스마트 체중계와의 관계를 검토한다. 이 글에 앞서 제1부에서는 르네상스 시대 인간의 발견과 체중계와의 관계, 산업혁명 등의 시대적 변화와 체중계 그리고 정상 체중의 관계, 풍만이 비만으로 낙인찍히는 과정, 공공 체중계의 등장과 체중의 민주화를 다루었다. 2부에서는 19세기 말 20세기 초 '체중 도덕'의 등장, 체중계와 체중의 사유화, 그리고 체중계와 칼로리의 관계를 살피면서 체중계가 어떻게 우리의 몸을 사적으로 길들이는 도구가 되었는가를 고찰했다. 3-1에서는 개항과 함께 조선의 무게가 도전받으면서 도량형이 적응하는 과정, 식민지화..

건강 2021.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