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정보(misinformation) 2

포스트 진리 시대의 이미지 조작과 기억과 사실의 왜곡, 그리고 대처법

기억의 왜곡과 역사의 왜곡 인간의 기억은 과거 사건을 사실적으로 기록하고 저장하지 않는다. 대신 인간의 기억은 사건을 내러티브와 패턴에 따라 짜 맞추고 필요에 따라 불러낸다. 따라서 기억은 완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자신도 모르게 재구성되고 왜곡된다. 기억의 왜곡과 재구성에 관한 연구들은 기억이 결코 단단한 구조물이 아님을 보여준다. 킴벌리 웨이드(Kimberley Wade) 등의 연구는 이미지를 통한 기억조작이 얼마나 수월한가를 보여준다. 그들은 피설험자들에게 그들의 어린 시절 실제 사진에 가족과 함께 열기구를 타는 조작된 사진을 함께 보여주었는데, 그들의 절반은 열기구 타는 어린 시절의 기억을 소환하려고 노력했다. 기억 왜곡 연구의 선구자 중 한명인 엘리자베스 로프트우스(Elizabeth F...

해외 시사 2021.04.16

가짜뉴스 시대의 미디어 해독력(Media Literacy) 2: 대한민국의 낮은 미디어 해독력

필자 주: 가짜 뉴스 혹은 포스트 진리 시대의 진정한 위기는 지식과 정보의 위기, 즉 인식론적 위기(epistemic security)다. 정보 역병이란 인포데믹(infodemic)의 일상 속에서 인간의 미디어 해독력은 급격히 해체되고 있다. 이 글은 잘못된 정보와 한국의 낮은 미디어 해독력을 분석한다. 첫 번째 글에서는 잘못된 정보의 문제와 종류, 그리고 그 기원을 다루며, 두 번째 글에서는 한국의 미디어 해독력 수준과 대응을 다룬다. 필자 주: 가짜 뉴스 혹은 포스트 진리 시대의 진정한 위기는 지식과 정보의 위기, 즉 인식론적 위기(epistemic security)다. 정보 역병이란 인포데믹(infodemic)의 일상 속에서 인간의 미디어 해독력은 급격히 해체되고 있다. 이 글은 잘못된 정보와 한국..

국내 시사 2021.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