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사

북한 핵-미사일 관련 타임라인 9(2021년-2023년 2월): 바이든, 윤석열 정부와 신 대북노선 등장 및 북한 미사일 발사 급증과 한반도 긴장고조

Zigzag 2023. 3. 6. 00:21
반응형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대북제재가 계속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의 뿌리는 물론 1950년 한국전쟁이다. 그러나 비교적 최근의 직접적인 뿌리는 1980년대 중반, 북한의 핵확산방지조약(Nonproliferation Treaty, NPT) 가입 이후 계속된 북한의 핵문제를 둘러싼 미국과 북한의 대립 그리고 북한과 한국의 긴장이다. 앞으로 1985년부터 2022년까지 북한의 핵문제를 둘러싼 타임라인을 몇 차례에 걸쳐 게재할 생각이다. 여기에 제시된 타임라인은 군축협회 (Arms Control Association)와 미국외교협회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그리고 해외 기사들 중 북한 핵 및 미사일과 관련된 것들을 참조했다. 따라서 이 글을 읽는 분들은 비교적 객관적으로 보이는 타임라인일지라도 미국의 관점이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 타임라인은 모두 다음과 같은 9개의 시기로 나뉜다. 1) 1985년의 북한의 NPT 가입부터 김대중 대통령 당선 직전인 1997년까지의 첫 번째 타임라인, 2) 1998년 햇볕정책부터 2000년 악의 축까지의 타임라인, 3) 2003년 6자 회담 1차부터 2007년 방코 델타 아시아 계정에 동결된 북한 자금 2,500만 달러 동결 해제, 영변 핵시설 폐쇄 개시, 노무현-김정일의 남북 정상회담, 4) 2008년 이명박 대통령 취임에서부터 2009년 북한의 두 번째 핵실험, 2010년 천안함 침몰과 북한의 연평도 포격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긴장 고조 국면 시기, 5) 2011년 김정일 사망과 김정은의 계승, 그리고 2012년 북한의 잠정적 핵시설 가동 중단 선언과 대북 식량지원 재개 및 북한의 미사일 실험에 따른 대북 제재 강화, 6) 2013년 북한의 핵실험과 유엔 제재 강화, 2014년 중단거리 미사일 발사, 2015년 잠수함 탄도미사일 시험, 그리고 2016년 북한의 4 번째 이자 가장 커다란 폭발력의 핵실험 및 사드의 한국 배치 등 첨예화되는 한반도 긴장 고조 과정, 7) 2017년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따른 대북 제재강화와 한반도 긴장 극대화 국면 그리고 2018년 4.27 문재인-김정은 남북정상회담과 6.12 싱가포르 김정은-트럼프 북-미 정상회담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9월 평양방문 등의 극적인 한반도 긴장완화 국면, 8) 2019년 제2차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의 성과 없는 결렬과 남북미 정상의 판문점 회동 그리고 2020년 남북대화의 단절과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 경색과정, 9)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집중하고 일본이 러시아와 중국 그리고 북한의 안보 위협을 자국의 방위력 배가의 근거로 제기하는 와중에 북한이 급속도로 미사일 발사와 대륙간 탄도미사일 시험을 강화하는 2021년부터 대북 유화 대신 대북 강경책을 채택한 윤석열 정부의 등장 그리고 최근 한미일 합동 군사 훈련에 대한 경고로서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시위한 2023년 2월까지의 새로운 군사적 긴장고조 국면.

북한핵과 미사일을 둘러싼 이 타임라인은 긴장완화와 긴장고조 사이를 오가는 매우 복잡하고 변덕스러운 과정이었다. 현재는 러시아, 중국, 일본, 미국, 북한, 한국 등 한반도를 둘러싼 남북한 당사자와 주변 4개국 모두 외교대화보다는 대립, 군사적 무장 강화 노선을 채택한 그 어느 때보다도 무력충돌의 가능성이 높아진 심각한 국면이다. 향후 한반도가 어디로 향하게 될 것인지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을 둘러싼 이 장기적인 타임라인 속에서 패턴과 교훈을 얻는 것이 필수적이다.

2021년

2021년 1월 13일: 2016년 이후 처음으로 열린 당 대회에서 북한 김정은이 핵추진 잠수함, 대륙간탄도미사일, 정찰위성, 다탄두, 극초음속 활공미사일, 초현대 전술핵무기 등의 최신 무기 목록을 낭독한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우리의 가장 큰 적"인 미국에 대항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김정은의 당은 "우리의 핵 억지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결의안을 통과시킨다.
2021년 2월 8일: 로이터 통신이 본 북한의 핵 활동에 대한 유엔 기밀 보고서는 북한이 사이버 공격 동안 도난당한 돈으로 2020년에 핵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했음을 나타낸다. 보고서에서 언급된 익명의 제3 국은 2018년 북한의 주요 핵시설인 풍계리에서 파괴된 터널이 여전히 가동 중이며 이란과 북한이 서로 장거리 미사일 개발을 돕고 있다고 말한다. 이 보고서의 익명의 소식통은 또한 핵탄두가 북한의 탄도 미사일에 융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하지만, 이 미사일들이 재진입하는 동안 대기열을 견딜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라고 말한다.
2021년 3월 25일: 북한은 KN-23 단거리 탄도 미사일의 변형을 발사했는데, 이 실험에 대해 스팀슨 센터(Stimson Center)의 38 노스(38 North) 프로젝트는 나중에 바이든 행정부에게 북한이 "당연히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고안된 정치적 움직임이라고 부른다.
2021년 4월 16일: 외국 정상의 새 백악관 첫 방문을 기념하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만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등을 논의한다.
2021년 4월 28일: 조 바이든은 대통령으로서 의회 합동회의 첫 연설에서 이란과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미국의 안보와 세계 안보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라고 말한다 그는 "우리는 외교와 엄중한 억지력을 통해 양국이 제기하는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 동맹국들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1년 4월 30일: 젠 사키(Jen Psaki) 백악관 대변인은 바이든 행정부가 "외교에 열려 있고 앞으로도 외교를 탐색할 조정되고 실질적인 접근법(calibrated, practical approach)"을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구한다고 기자들에게 밝혔다. 이는 수개월에 걸친 미국의 대북 정책 검토가 끝났으며, 오바마 시대의 '전략적 인내', '일괄 타결'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 의도와의 결별을 의미한다.
2021년 5월 2일: 바이든 행정부의 새롭게 윤곽을 드러낸 한반도 정책에 불만을 품은 평양은 미국이 북한과 맞먹을 "전면적인 대결"을 준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고 익명의 외교부 관리가 국영 언론에 말했다. 별도의 성명은 미국이 "통제할 수 없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한다
2021년 5월 10일: 대한민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외교가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 "행동을 취해야 할 때"라고 말한다. "나는 남은 임기 1년이 불완전한 평화에서 돌이킬 수 없는 평화로 나아갈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할 것이다."라고 문 대통령은 임기 마지막 해에 연설을 통해 발표한다.

노규덕 대북특사와 성 김 미국 대북특사가 2021년 10월 서울에서 열린 브리핑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 Ahn Young-joon/Reuters

2021년 5월 2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정상회담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북한의 핵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을 해결하기 위해 백악관과 함께 "외교와 대화"를 추구할 것임을 재확인한다. 또한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일 3국 협력의 근본적인 중요성을 [강조]”한다. 문 대통령과 나란히 선 바이든 대통령은 직업 외교관 성 김(Sung Kim)이 북한에 대한 그의 특사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바이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주재 미국 대사와 북한과의 6자 회담을 위한 오바마 행정부의 대표자로서의 경험을 가진 김 씨는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미국의 노력을 정리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2021년 6월 17일: 바이든 행정부가 한반도 정책 계획을 발표한 지 몇 주 후 노동당 회의에서 북한 지도자 김정은은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와 대결, 특히 대결에 완전히 대비하기 위해" 준비해야 한다고 말한다.
2021년 7월 27일: 1년여 전 김정은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실패로 양국 관계가 곤두박질쳤던 2020년 6월 이후 서울과 평양은 핫라인을 그대로 복구한다.
2021년 8월 10일: 평양은 다가오는 한미 군사 훈련에 항의하는 남북 핫라인의 전화를 다시 무시하고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중요한 메커니즘을 단절한다.
2021년 8월 27일: 국제원자력기구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주요 원자로가 재가동되었다. 플루토늄을 생산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영변 핵시설은 이르면 2021년 2월부터 가동될 조짐을 보였는데, IAEA는 건설 중인 새로운 경수로, 한 달 동안 냉각수를 배출하는 기존 원자로, "조사핵연료(照射核燃料, irradiated fuel)의 완전한 노심"을 잠재적으로 재처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오랫동안 가동되는 폐기물 처리 공장을 관찰했다.
2021년 9월 9일: 평양에서 국가건설 73주년을 기념하여 준비된 심야 군사 퍼레이드가 열린다.
2021년 9월 13일: 북한 관영매체는 일본에 핵 탑재물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장거리 순항 미사일인 "매우 중요한 전략 무기"가 시험되었다고 보도한다.
2021년 9월 15일: 북한이 최신 순항 미사일을 공개한 지 이틀 만에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터무니없다"라고 표현한 시험에서 북한이 동해에 탄도 미사일 2발을 쏜다. 북한이 열차에서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발사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방한해 평양과 교착상태에 빠진 군비통제 회담과 한국의 첫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논의하는 것과 동시에 이뤄졌다.
2021년 9월 21일: 바이든은 미국 대통령으로서 첫 유엔 연설에서 "끊임없는 외교"를 약속하면서, 그의 행정부는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외교적 해결책을 찾을 것이라고 말한다. 나중에,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도록 격려할 것이라고 믿는 움직임인 한국 전쟁의 공식적인 종료를 요청한다.
2021년 9월 24일: 북한 관영매체는 고위 관리 김여정이 유엔에서 남한 지도자의 9월 21일 발언에 대해 "버려야 할 것은 우리의 정당한 자위권 행사를 비난하면서 그들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이중적 태도, 비논리적 편견, 나쁜 습관, 적대적 입장"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한다.
2021년 9월 26일: 북한 김정은의 여동생이자 당의 고위 인사인 김여정이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에 논평을 통해 북한이 서울과 평화회담을 할 용의가 있다는 신호를 보낸다. 그녀는 "서로를 존중하는 태도와 공정성이 유지돼야 남북 간에 원만한 이해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며 북한 주민들이 한국전쟁을 끝내려는 "저항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한" 열망을 공유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2021년 9월 27일: 북한이 동해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직후 유엔 주재 북한 특사가 북한이 미사일 무기고를 개발할 "정당한 권리"가 있다고 유엔에 밝힌다.
2021년 9월 28일: 북한은 최초의 극초음속 미사일인 화성-8을 시험하는데, 이는 북한의 극초음속 활공 기술의 발전을 성공적으로 보여주는 "전략 무기"이다. 보니 젠킨스(Bonnie Jenkins) 미 국무부 군비통제 및 국제안보 담당 차관은 로이터 통신에 미국이 최근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해 "외교적 해결책을 추진하고 있다"라고 말한다. "우리는 여전히 북한과의 외교를 위한 열린 문을 갖고 싶어 한다, "라고 그녀는 말한다. "그래서 우리는 그들이 시험 외에도 '다시 대화를 나누자'라고 말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2021년 10월 20일: 북한 관영매체가 동해안에서 시험발사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의 '신형' 사진을 공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긴급 비공개회의에서 논의한다.

2022년

북한은 2022년 1월에만 총 7차례 이상의 미사일을 발사함으로써 2021년 총 발사횟수를 넘어선다. 시민들은 2022년 1월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 장면을 보여주는 뉴스 방송을 보고 있다. 사진: Jung Yeon-je/AFP/Getty Images

2022년 1월 5일: 관영 매체에 따르면 북한은 “국가의 전략무력 현대화 과제를 앞당긴다는 점에서 전략적 의미”를 지닌 두 번째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을 발사한다.
2022년 1월 10일: 북한의 극초음속 실험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소집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 앞서 린다 토마스-그린필드(Linda Thomas-Greenfield) 미국 대사와 프랑스, 아일랜드, 알바니아, 일본, 영국 대표들은 북한의 "불안정한 행동"을 비난한다 "북한이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계속 추구하는 것은 국제 평화와 안보에 위협이 된다."라고 공동 성명은 쓰고 있다.
2022년 1월 11일: 북한의 "전쟁 억지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북한 지도자 김정은은 또 다른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을 감독한다. 나중에 국영 언론은 이 시험이 "활공 점프 비행"과 "나선형 조종"을 보여주었다고 보도한다.
2022년 1월 12일: 이틀 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북한에 대한 새로운 제재안을 통과시키지 못한 후, 미국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과 관련된 6명의 북한인과 1명의 러시아인 그리고 러시아 기업을 제재하기로 결정한다.
2022년 1월 14일: 북한 외무성은 미국이 핵 프로그램에 연루된 개인들에 대한 최근의 미국의 제재를 비난하며, 미국이 "의도적으로 상황을 악화시켰다"며, 이 결정에 “더 강하고 분명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경고한다. 북한이 두 개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열차에서 시험 발사했다고 국영 언론이 보도한다.
2022년 1월 17일: 북한 관영 매체들은 북한의 최근 무기 시험에서 두 개의 전술 유도 미사일이 평양의 공항에서 236마일을 비행했다고 주장한다.
2022년 1월 19일: 북한의 지도자 김정은은 미국과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이전에 취한 조치를 재고하고 정치국 회의에서 워싱턴의 "적대적 움직임"이 북한의 군사적 태세(핵 및 ICBM 실험에 대한 모라토리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2022년 1월 20일: 북한의 최근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응하여 소집된 긴급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 관리 5명에 대한 제재를 저지한다.
2022년 1월 25일: 북한이 장거리 순항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고 한국 군 당국이 보도한다. 나중에 북한은 미사일이 1,100마일 이상을 비행했다고 말하면서 발사를 확인한다.
2022년 1월 27일: 북한은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발사한다. 스팀슨 센터의 38 노스 프로젝트는 이 미사일들이 2019년 핵무장 가능 미사일인 KN-23 SRBM 발사 이후 이동식 플랫폼에서 "최초로 알려진 발사"라고 말한다.
2022년 1월 30일: 북한은 중거리 화성-12형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이 실험은 유엔이 오랫동안 금지해 온 실험을 위반한 것이다. 파르한 하크(Farhan Haq) 유엔 대변인은 성명에서 유엔은 "북한이 더 이상의 역효과를 낳는 행동을 하지 말 것을 촉구하며 모든 당사국들이 평화적인 외교적 해결책을 모색할 것을 촉구한다"라고 말한다
2022년 2월 1일: 미국은 북한이 최근 괌에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중거리 탄도 미사일 시험발사에 이어 15개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의를 요청한다.
2022년 2월 26일: 중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4주 만에 북한이 동해안에서 위력이 떨어지는 탄도미사일을 발사한다. 이 미사일의 정점은 385마일로 화성-12의 최종 고도보다 거의 900마일이나 짧지만 북한의 이웃 국가를 위협하기에 충분하다. 한국 정부가 성명을 통해 이 시험을 "매우 우려스럽고 유감스러운" 시험이라고 부른다.
2022년 2월 28일: 북한 관영매체가 가장 최근 미사일 발사를 개발 중인 정찰위성의 예비실험이라고 밝히고 한국 당국이 탄도미사일 시험이라고 부르는 등 북한의 이 움직임을 무엇이라고 불러야 할지에 대해 평양과 서울이 의견을 달리한다. 미국, 영국, 알바니아, 호주, 브라질, 프랑스, 노르웨이, 아일랜드, 일본, 뉴질랜드, 한국이 서명한 성명서를 읽은 제프리 드로렌티스(Jeffrey DeLaurentis) 미국 차관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공동 서명 11개국은 "진지하고 지속적인 외교를 추구할 것이며 북한이 미국과 다른 국가의 활동에 긍정적으로 대응할 것을 촉구한다"라고 말한다. " 이 성명은 북한에게 "지역 긴장을 완화하고 국제 평화와 안보를 증진하기 위한 외교의 길을 선택할 것"을 요구한다.
2022년 3월 4일: 북한이 고도 348마일, 사거리 168마일을 비행하는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여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 밖 해역에 떨어진다.
2022년 3월 6일: 관영 언론들은 북한이 개발 중인 첩보 위성에 대해 새롭고 중요한 실험을 수행했다고 주장하는데, 일부 국가들은 이를 북한의 탄도 미사일 시험이 급증하는 것을 은폐하기 위한 상투적인 시도라고 보고 있다.
2022년 3월 7일: 2월 28일 북한의 최근 미사일 시험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낸 같은 나라들에 의해 승인된 또 다른 성명에서, 11개의 정부들은 북한이 2022년에 11번째 탄도 미사일을 발사한 후 수행한 "이러한 위험하고 불법적인 행위들을 비난하는 데 한 목소리를 낼 것"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촉구한다.
2022년 3월 8일: 미 정보당국은 연례 위협평가에서 북한이 "지역과 세계 무대에서 파괴적인 역할을 하면서 대량살상무기(WMD) 능력을 확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제재와 이에 따른 경제적 압박은 물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압박도 김정은의 핵무기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추구를 막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 평가는 김정은이 이를 "전체주의적이고 독재적인 북한 통치의 궁극적인 보증자"로 보고 있다고 밝힌다.
2022년 3월 9일: 대북 강경파로 보이는 윤석열이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2022년 5월 퇴임한다.
2022년 3월 10일: 존 커비(John Kirby) 미 국방부 대변인은 북한의 2월 26일과 3월 4일 시험은 "북한이 개발 중인 새로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라고 말하며, 두 발사 모두 대륙간 사거리에 도달하지는 못했지만, "미래에는 우주발사로 위장한, 모든 범위의 시험"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고 말한다. 커비에 따르면 이들 부품 실험은 2020년 10월 10일 공개된 것과 동일한 시스템으로 북한의 가장 강력한 ICBM에 대한 사실상의 첫 실험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의 박빙의 승리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미국과의 '전략적 포괄적 동맹'을 추구하고, 한국의 군사에 재투자하며, 외교를 협상테이블에서 유지하겠지만 북한에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밝힌다.
2022년 3월 11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부분실험에 대응하여 미 재무부는 북한의 급속한 군사력 발전과 관련된 러시아 기업 3곳과 개인 2명을 제재한다.
2022년 3월 14일: 로이터 통신은 북한의 최근 시험발사가 대륙간탄도미사일인 화성-17형과 관련이 있다고 보도한다.
2022년 3월 16일: 후에 화성-17 시스템의 일부를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 미사일이 이륙 직후 폭발한다. 미 인도태평양사령부가 탄도미사일이라고 설명하는 발사체는 고도 12마일 이상에 도달한 뒤 폭발한다.
2022년 3월 24일: 평양은 일본과 한국 군 관계자들이 "새로운 ICBM"이라고 부르는 것을 동해안에서 발사하면서 4년간의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해제한다. 사상 최대 규모로 알려진 ICBM은 일본 최북단의 섬인 홋카이도 근처에서 낙하하기 전까지 71분 동안 670마일을 비행한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용서할 수 없는 무모함”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단호하게 그 행위를 비난한다." 오니키 마코토(Oniki Makoto) 일본 방위차관은 ICBM 발사를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내 해역을 겨냥한 것에 대해 "주요 사안이자 극도로 위험한 행동"이라고 규정한다. 한국 군 당국은 "북한 미사일 발사의 진원지와 지휘 및 지원 시설에 정밀 타격을 가할 수 있는 능력과 준비태세"를 재확인하기 위해 두 개의 탄도 미사일인 현무-2와 육군 전술 미사일 시스템을 발사함으로써 대응한다. 백악관은 북한의 ICBM 발사를 이런 실험에 반대하는 유엔 결의안에 대한 "뻔뻔한 위반"이라고 규정한다. "우리는 모든 국가들이 이러한 위반 행위에 대해 북한에 책임을 묻고 북한이 진지한 협상을 위해 회담장에 나올 것을 촉구한다."라고 성명서는 밝힌다. "외교의 문은 닫히지 않았지만, 북한은 불안정한 행동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라고 강조한다.
2022년 3월 26일: 북한의 3월 24일 ICBM 발사가 실제로 3월 24일에 일어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독립 분석가들이 밝힌다. 그들은 대중들이 이전의 실험이 나중에 일어났다고 믿게 이끌었음을 시사하는 평양에 의해 공개된 사진들의 측면들을 강조한다. 한국의 한 연구 회사는 이 사진들이 북한의 3월 16일 발사 실패에서 유래한 것일 수도 있다고 로이터 통신에 말했다.
2022년 4월 1일: 서욱 국방부 장관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대가 남쪽을 가리킬 경우 "정확하고 신속하게" 타격할 수 있다고 말한다. 미국 재무부가 북한의 대표적인 ICBM 연구개발(R&D) 부문인 로켓산업부와 자회사 4곳에 대한 제재를 발표한다. 재닛 옐런(Janet Yellen) 재무장관은 성명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발적인 탄도미사일 실험은 지역과 세계 안보에 대한 명백한 위협이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노골적인 위반"이라고 말한다. 미국 관리들은 로이터 통신에 북한이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다는 징후가 있다고 말한다.
2022년 4월 3일: 한국이 북한에 대한 '사전 원점 정밀타격(선제타격)' 가능성을 언급한 후 북한의 김여정은 긴장을 "전면적인 전쟁"으로 빠뜨리지 말라고 경고하면서 한국의 국방부 장관인 서욱을 "쓰레기"라고 부른다. 김여정은 만약 한국이 “군사적 대결을 선택”한다면 북한의 핵무력은 “필연적으로 의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말한다.
2022년 4월 16일: 북한 단거리 미사일 2발을 발사하여 북한의 첫 전술 핵무기 운반 시스템을 시험한다.
2022년 5월 4일: 북한은 순안에서 미사일을 발사했다. 출처에 따라, 이것은 북한의 2022년 13번째 또는 14번째 미사일 시험이다.
2022년 5월 7일: 북한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2022년 5월 12일: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를 한다. 한국 군은 한반도 밖에서 동쪽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 3발을 확인했고, 일본 해상보안청은 도쿄 배타적 경제수역(EEZ) 인근에 탄도미사일이 착륙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한다.
2022년 5월 25일: 한국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ICBM 1발과 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ICBM의 궤도는 높이가 335마일, 사거리가 223마일이었다. 두 번째 미사일은 12마일을 이동한 뒤 사라졌고, 세 번째 미사일은 높이 37마일, 거리 472마일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2년 6월 5일: 북한은 단거리 탄도미사일 8발을 발사했는데, 이는 단일 시험으로는 최대 규모다. 이는 한국과 미국의 합동 군사 훈련이 끝난 지 하루 만에 발사된 것이다.
2022년 8월 17일: 북한은 6월 이후 처음으로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한다.
2022년 9월 25일: 북한은 동해상을 향해 탄도 미사일을 시험 발사한다. 이번 시험은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 USS 로널드 레이건호와 그 타격단이 합동 군사 훈련을 위해 한국에 도착하면서 이루어졌다.
2022년 9월 28일: 북한은 두 발의 미사일을 더 발사했는데, 이는 불규칙한 궤적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2022년 9월 29일: 북한은 최소한 한 발의 미사일을 발사한다.
2022년 10월 1일: 북한은 일주일 만에 네 번째로 탄도 미사일을 발사한다.
2022년 10월 4일: 북한이 일본 상공을 통과하는 미사일을 발사하여 일본 총리 기시다 후미오가 시민들에게 대피 및 기타 예방 조치를 경고하는 발표를 한다. 또 다른 ICBM일 가능성이 높은 이 미사일은 태평양에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미사일은 북한이 시험한 미사일 중 사거리가 가장 길고 2017년 이후 처음으로 동해 상공에서 발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2022년 10월 6일: 북한은 2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한다.
2022년 10월 9일: 북한은 다시 두 발의 탄도 미사일을 발사한다.
2022년 10월 12일: 북한은 장거리 순항미사일 2발을 발사하여 목표물을 타격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2022년 10월 14일: 북한은 동해상을 향해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발사한다.
2022년 10월 28일: 북한이 동해상에서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보도되었다.
2022년 11월 2일: 북한은 울릉도에서 167km 떨어진 공해상에 떨어진 탄도미사일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미사일 23발을 발사했다고 알려진다.
2022년 11월 3일: 북한은 동해안에서 장거리 미사일 1발과 단거리 미사일 2발을 발사한다. 이 발사는 미야기현, 야마가타현, 니가타현의 주민들에게 실내에 머물 것을 경고하는 일본의 긴급 방송 시스템을 촉발시킨다.
2022년 11월 5일: 북한은 서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4발을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군 당국은 미사일이 고도 약 20km에서 130km(81마일)를 이동했다고 밝힌다.
2022년 11월 8일: 북한은 적어도 한 발의 탄도 미사일을 바다로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한국은 이것이 소련 시절 SA-5 지대공 미사일의 일부로 이전 발사의 잔해를 확인했다고 발표한다.
2022년 11월 18일: 북한은 금요일에 최소한 한 발의 탄도 미사일을 바다로 발사했다고 알려진다. 미사일은 홋카이도 서쪽의 일본 배타적 경제수역에 떨어진다.
2022년 12월 18일: 북한은 중거리 탄도 미사일 2발을 발사한 것으로 알려진다.
2022년 12월 23일: 북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 2발을 시험 발사한다.
2022년 12월 31일: 북한은 단거리 탄도 미사일 3발을 발사한다.

2023년

2023년 2월 18일: 북한은 989km를 "로프트 각도"(lofted angle)로 이동한 후 일본 바로 서쪽 바다에 착륙한 ICBM을 발사한다. 이것은 미국과 한국이 이 지역에서 해군 훈련을 하도록 자극한다.
2023년 2월 20일: 북한은 두 번의 ICBM 발사로 이러한 훈련에 대응한다.

북한 정부가 제공한 이 사진은 4월 24일 새벽에 북한의 미공개 장소에서 진행된 순항미사일 발사 훈련이라고 밝힌 내용을 담고 있다. 사진: AP

2023년 2월 24일: 북한은 한반도 동해안에서 4발의 전략 순항 미사일을 발사한다. 이번 발사는 미국과 한국이 북한의 핵 공격을 모의한 탁상 훈련을 실시한 지 하루 만에 이뤄졌다. 조선중앙통신은 전략 순항미사일 4발이 각각 타원형과 8 자 모양의 궤적으로 동쪽으로 약 1200마일을 비행한 뒤 해상의 목표물을 타격했다고 전한다. 이번 발사는 미국, 한국, 일본은 이번 주 한국 앞바다에서 3자 미사일 방어 훈련을 실시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여겨진다. 북한 외무성은 미국에 항공모함 등 전략무기의 한반도 배치를 중단하고, 한국과의 합동 군사훈련을 중단하라는 성명을 요구했다.

반응형